https://www.fapjunk.com

치매 환자 100만명 시대 커지는 치매·간병보험 시장…작년 70% 급성장

국내 치매 추정환자가 100만명을 넘어서는 등 초고령화 시대를 맞아 치매·간병 수요가 커지면서 관련 보험시장도 급성장하고 있다.

13일 보험개발원 보험통계조회서비스에 따르면 작년 1~11월 생명보험과 손해보험사 합산 치매·간병보험의 초회보험료는 883억6606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0.2% 급증했다.

같은 기간 계속보험료(초회보험료 이후 두번째부터 보험 만기까지 계속 납입하는 보험료)도 2조835억원에서 2조8318억원으로 36% 가량 늘어났다. 

치매·간병보험 시장이 이처럼 급성장하는 것은 근래 치매 환자가 증가하면서 간병비 부담도 커졌기 때문이다.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2024년 기준 국내 65세 이상 추정 치매 환자 수는 105만명이다. 또 2021년 기준 치매 환자의 건강보험 본인부담금은 2조 2000억원으로 5년 사이 34.8% 증가했다.

▲치매 어르신을 대상으로 진행 중인 치유농업 프로그램의 한 사례. /농진청
▲치매 어르신을 대상으로 진행 중인 치유농업 프로그램의 한 사례. /농진청

사적 간병비 지출 규모 역시 2018년 8조원을 돌파했고 2025년 10조원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보험사들은 보장 범위를 늘리고 가입 편의성을 강화한 상품들을 잇달아 내놓고 관련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중증 치매 위주의 보장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경도인지장애나 최경증 치매, 검사비·약물 치료비까지 보장 범위를 넓힌 상품도 적지 않다.

교보생명의 ‘교보치매·간병안심보험’은 중증치매뿐 아니라 경도·중등도 치매 발생 시 진단보험금과 함께 매월 생활자금을 평생 지급한다.

예를 들어 경증 치매 진단을 받으면 일시금 500만원, 중등도 치매 시 일시금 1000만원을 지급하면서 동시에 매월 생활자금을 지원한다.

KB손해보험은 최근 출시한 ‘KB 골든케어 간병보험’에 신규 특약인 ‘치매 CDR 척도 검사지원비’를 추가했다. CDR(임상 치매 등급) 검사’는 치매 중증도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검사다. 기존 치매보험에서는 MRI·CT 등 치매의 원인을 분석하는 감별 검사 보장만 제공됐다.

흥국화재의 경우 업계 최초로 치매치료제 ‘레켐비’ 보장 특약을 탑재한 신개념 치매·간병보험을 내놨다. 

레켐비는 알츠하이머 원인 물질로 알려진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을 제거하는 혁신 치료제다. 치매 초기단계 또는 경증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을 받고, 뇌 속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의 일정 수준 축적이 확인된 경우 치료제를 투여하면 최초 1회에 한해 최대 1000만원의 치료비를 지급한다.

한화손해보험은 장기요양은 물론 치매와 재활치료를 보장하는 치매간병보험을 선보였다. 

이 상품은 장기요양 급여에 대한 고객 수요를 반영해 재가 및 시설급여를 이용할 때마다 보장받는 장기요양급여금Ⅱ 담보를 신설했고, 경증 치매 단계에도 우울증 진단비, 정신질환 진단비 등을 보장한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고령화에 따른 수요 증가와 보험사의 보장성 보험 강화 기조가 맞물리면서 다양한 특약 개발이 이어지는 등 시장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 기사에 대해 공감해주세요!
+1
0
+1
0
+1
0
+1
0
+1
0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