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지는 중저가 아파트…서울 6억원 이하 거래 비중 역대 최저[집슐랭]

373
사라지는 중저가 아파트…서울 6억원 이하 거래 비중 역대 최저[집슐랭]

올해 서울에서 거래된 소형 아파트 가운데 6억 원 이하에 매매된 비중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1~9월 서울의 소형아파트(전용면적 60㎡ 이하) 매매 거래량은 1만 3314건으로 집계됐다. 이중 매매가격이 6억 원 이하인 거래량은 5697건으로 전체의 42.8%를 차지했다. 이는 국토부가 관련 통계를 제공한 2006년 이래 가장 낮은 수치다.

소형 아파트의 6억 원 이하 매매 비중은 2016년 이전까지 90%대 수준이었으나 2018년 82.8%, 2020년 63.4%, 2021년 48.0%로 점차 하락했다. 이후 아파트값이 급락한 지난해 64.7%로 상승했다 올해 역대 최저 수준을 찍었다.

금액별로 보면 6억 원 초과~9억 원 이하 소형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4220건(31.7%)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9억 초과~15억 원 이하 거래량은 2761건으로 20.7%다. 특히 15억 초과 소형 아파트 거래량 비중은 4.8%(636건)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6억 원 이하 소형 아파트 거래 비중이 낮은 자치구는 성동구로, 총 565건 가운데 2.7%(15건)만 해당됐다. 이어 강남구(13.5%), 송파구(13.9%), 용산구(13.8%), 마포구(14.4%) 등의 순이다. 15억 원 초과 거래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서초구로, 340건 중 46.8%(159건)에 달했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1~2인 가구 증가로 소형 아파트 수요가 늘어난데다 금리 인상의 여파로 대출이자 부담이 커져 상대적으로 진입장벽이 낮은 소형으로 몰려 중저가 거래도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사라지는 중저가 아파트…서울 6억원 이하 거래 비중 역대 최저[집슐랭]

*‘집슐랭 연재’ 구독을 하시면 부동산 시장 및 재테크와 관련한 유익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생하게 전달받으실 수 있습니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