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fapjunk.com

미주·유럽·아시아에 권역별 전략거점센터 지정…“글로벌 협력 강화”

과기정통부, 제4회 글로벌 R&D 특위 개최

글로벌 R&D 전략거점센터 운영안 등 심의

반도체 등 16개 기술 글로벌 전략도 수립

글로벌 R&D 전략지도 수립 현황.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부는 2025년부터 글로벌 연구개발(R&D) 지원에 특화된 ‘글로벌 전략거점센터’를 권역별로 지정한다.

거점센터를 구심점으로 그간 파편화 돼있던 현지 협력체계를 효율화하고, 글로벌 협력을 다방면으로 지원하겠다는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6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글로벌 R&D 특별위원회 제4회 회의를 개최했다.

글로벌 R&D 특위는 글로벌 R&D 정책 종합조정 및 전략 고도화, 체계적인 운영·관리 등에 대한 범부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있다.

이번 제4회 글로벌 R&D 특위에서는 ▲글로벌 R&D 추진전략 및 과학기술 글로벌 협력 종합전략 2024년도 하반기 이행 현황 ▲제1차 글로벌 R&D 플래그십 프로젝트 추진 현황 ▲글로벌 R&D 전략거점센터 운영방안(안) ▲국가전략기술 관련 글로벌 R&D 전략지도(안)(반도체, 사이버 보안 등 8개 분야) ▲탄소중립기술 관련 글로벌 R&D 전략지도(안)(에너지 통합시스템, 친환경 자동차 등 8개 분야) 등 총 8건의 안건을 처리했다.

과기정통부는 ‘글로벌 R&D 전략거점센터 구축·운영방안’ 후속 이행계획으로 해외센터 재정비 및 협력촉진을 위한 ‘과기정통부 글로벌 전략거점센터 운영방안’을 수립했다.

2025년부터 현재 개별 조직별로 운영 중인 과기·ICT해외센터 및 출연연 해외거점 중 글로벌 R&D 지원에 특화된 ‘글로벌 전략거점센터’를 8개 지정(미주 4개, 유럽 2개, 아시아 2개)할 예정이다.

전략거점센터는 권역 내 다른 해외센터들과의 연계·협력을 통해 국제공동연구, 인력교류, 디지털기업의 해외진출 등 과학기술·ICT 글로벌 협력의 허브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현재 운영 중인 해외센터들을 집적화하고 재정비하는 한편, 기능과 운영성과 분석을 통해 조직 효율화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글로벌 협력을 희망하는 산·학·연 연구자들의 애로사항을 자문하고 해소해주는 ‘글로벌 R&D 헬프데스크’를 내년 유럽 전략거점센터(벨기에 브뤼셀)에 시범적으로 설치한다. 헬프데스크는 재외과협, 무역관 등 유관기관들과 협력해 내년 호라이즌 유럽 준회원국 가입에 따라 유럽과의 공동연구를 추진하려는 우리 연구자들을 현지에서 지원할 예정이다.

글로벌 R&D 전략지도는 데이터 기반의 국가 및 지역 간 기술 수준 분석을 통해, 해외 우수 연구기관·기업과의 능동적이고 전략적인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 수립해 왔다.

글로벌 R&D 전략지도는 국가 및 지역별 기술수준을 분석하는 ‘글로벌 기술수준 지도’와 국가·지역별 기술협력 전략을 제시하는 ‘기술 유형별 협력전략 지도’ 두 가지 단계로 구성된다. 글로벌 기술수준 지도에서는 논문(피인용 상위 10% 논문 수), 특허(삼극특허 출원 수), 전문가 정성평가를 바탕으로 분야별 기술수준 상위 10여 개 국가를 선정했다.

기술 유형별 협력전략 지도는 한국의 기술 경쟁력 및 기술 발전 주기를 기준으로 세부 기술을 네 가지 협력 유형으로 구분하고, 협력 대상 후보국가·지역에 대한 유형별 협력 전략을 제시했다.

협력 대상 후보국가·지역은 글로벌 기술수준 지도에서 분석한 기술수준에 더해 사회·경제적 측면에서의 협력 용이성과 협력 효과성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 도출했다.

이번 특위에서는 12대 국가전략기술 중 8개 분야(반도체, 디스플레이, 차세대통신, 사이버보안, 차세대원자력, 첨단로봇·제조, 우주항공·해양, 첨단모빌리티)와 17대 탄소중립기술 중 8개 분야(에너지통합시스템, 제로에너지 건물, 탄소중립 선박, 친환경 자동차, 철강, 석유화학, 산업일반, 환경) 등 총 16개 기술 분야에 대한 글로벌 R&D 전략지도를 심의했다.

이번에 확정된 16개 글로벌 R&D 전략지도를 포함해 올 한해 총 26개 분야의 전략지도 수립을 완료했다.

글로벌 R&D 특위 위원장인 류광준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 심화로 국제협력은 그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어, 과학기술과 산업 역량 확보를 위한 국제협력 R&D 전략 강화는 필수”라며 “전방위적으로 다양한 정책 수단을 활용해 글로벌 R&D 생태계 활성화와 성과창출에 중점을 두고 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공감해주세요!
+1
0
+1
0
+1
0
+1
0
+1
0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