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fapjunk.com

[인터배터리 2025] 배터리 시장 대응력 강화…SK온, 3대 폼팩터 모두 선보인다

원통형 실물 모형, 고전압 미드니켈 첫 공개

차세대 무선BMS, 액침냉각 등 배터리 안전 최신 기술도

인터배터리 2025 SK온 부스 조감도. ⓒSK온

SK온이 다양한 폼팩터와 케미스트리를 아우르는 배터리 포트폴리오 확장에 나선다.

SK온은 내달 5~7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국내 최대 규모 배터리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전시회에서 SK온은 ‘미래를 향해 꿈을 펼치다’를 주제로 현재와 미래의 배터리 트렌드를 선도할 제품과 기술을 공개한다.

3대 폼팩터(파우치형·각형·원통형)를 모두 전시하는 가운데 원통형 실물 모형을 처음으로 선보인다. SK온은 지난해 하반기 원통형 파일럿 라인을 준공하며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각형 배터리는 양방향에 이어 단방향 모델을 추가해 올해 전시한다. 각형 배터리에 적용된 Z-폴딩 스태킹 기술 및 급속충전 솔루션도 소개된다.

가격·성능·수명·안정성 모두 잡았다…고전압 미드니켈 첫 공개

시장 트렌드 변화에 맞춰 케미스트리(양·음극 소재)를 달리한 제품들도 여럿 선보인다. 그중에서도 가격경쟁력, 성능, 수명, 안정성을 고루 갖춘 고전압 미드니켈 배터리를 처음으로 공개한다.

미드니켈 배터리는 NCM(니켈·코발트·망간) 양극 소재에서 니켈 함량이 50~70%인 배터리를 말한다. 고에너지밀도의 하이니켈 배터리와 가격경쟁력과 열안정성을 지닌 LFP(리튬·인산·철) 배터리의 균형 잡힌 특성을 지녀 ‘가성비’를 선호하는 현 시장 트렌드와 잘 맞는 제품으로 평가받는다.

SK온이 선보이는 고전압 미드니켈 배터리는 값비싼 니켈과 코발트 함량을 낮춰 가격경쟁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에너지밀도 향상을 위해 높은 전압을 활용했다.

고전압 환경에서 배터리 충ž방전이 진행되면 양극 계면에서 전해질 산화 현상이 더 쉽게 발생할 수 있어 배터리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SK온은 양극 계면을 보호하는 첨가제를 통해 산화 반응을 억제하고 단결정 활물질을 적용해 배터리 수명을 향상시켰다.

SK온은 배터리 안전과 관련된 최신 기술인 배선이 필요 없는 차세대 무선 배터리관리시스템(BMS)도 선보인다. 배터리 셀 탭에 부착된 무선 칩이 수집한 정보를 모듈의 안테나가 BMS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구조다.

SK온이 SK엔무브와 협력해 개발하고 있는 액침냉각 기술도 이번 전시회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액침냉각 기술은 기존 배터리셀 하부만을 냉각하는 방식과 다르게 배터리 셀 전체를 특수 냉각 플루이드에 직접 담가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는 기술이다. 냉각 성능을 향상시켜 급속 충전을 가능케하고 화재 안전성 또한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K온은 도전과 혁신의 여정을 보여주기 위해 5개 구역으로 전시장을 꾸몄다.

전시장에 입장하면 SK온의 고용량 어드밴스드 SF배터리가 탑재된 현대자동차의 플래그십 전기SUV 아이오닉9이 전시돼 V2L 기능을 통해 SK온 배터리의 우수성을 보여준다.

그 다음 전시 구역에서는 SK온의 파우치형·각형·원통형 등 배터리 포트폴리오 다변화 전략이 전시된다. 마지막 전시 구역에서는 SK온이 개발하는 고분자-산화물 복합계·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의 기술과 전략을 소개한다.

SK온 관계자는 “글로벌 전기차 시장 트렌드 변화에 맞춘 당사의 배터리 폼팩터·케미스트리 다변화 전략 및 혁신 기술을 이번 전시회에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며 “끊임없이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고객사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구축해 차별적 경쟁 우위를 확보해 나갈 것”이라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공감해주세요!
+1
0
+1
0
+1
0
+1
0
+1
0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