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출산 문제와 고가 수입 분유 선호 현상으로 어려움을 겪던 한국 유업계가 동남아시아로 눈을 돌리며 돌파구를 찾고 있다.
18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지난해 아세안 10개국으로의 분유 수출액은 3070만 달러(약 442억원)로, 2014년 1050만 달러에서 무려 3배 이상 급증했다. 같은 기간 수출량도 932t에서 2465t으로 2.6배 늘었다.
캄보디아가 수출의 핵심, 남양유업 주도
특히, 아세안 국가 중 캄보디아가 최대 수출국으로 떠오르며 한국 분유의 성공적인 시장 확장을 이끌고 있다.
지난해 캄보디아로의 분유 수출액은 1560만 달러(약 225억원)에 달하며, 10년 새 14배나 증가했다.
이 중 80~90%는 남양유업의 제품으로, ‘임페리얼XO’를 비롯해 현지 전용 제품 ‘스타그로우’를 마케팅 전략으로 내세우며 시장을 공략해 왔다.
베트남, 롯데웰푸드의 급성장
베트남으로의 분유 수출액은 지난해 1500만 달러(약 216억원)로 10년 새 1.6배 성장했다.
베트남 시장에서 빠르게 자리잡은 롯데웰푸드는 현지 특화 제품인 ‘뉴본’을 앞세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한국의 유업체들이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급성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 시장은 침체, 수입 분유 급증
하지만 한국 국내 시장은 정반대 상황이다. 저출산과 함께 수입 분유의 점유율은 계속해서 증가하는 중이다.
관세청 수출입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조제분유 수입량은 4912t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수입액은 약 1396억원으로, 매년 10% 이상 증가하고 있다. 독일, 뉴질랜드, 아일랜드, 프랑스 등의 수입국에서 들어오는 분유가 대부분이다.
특히 독일의 ‘압타밀’은 국내에서 ‘강남 분유’로 알려지며 큰 인기를 끌었다. 압타밀은 10여 년 전에 입소문을 타면서 강남 지역에서 선호되는 제품이 됐다.
지난해 닐슨 조사에 따르면 압타밀의 시장점유율은 20%를 기록했다. 매일유업의 ‘앱솔루트’를 제치고 1위로 올라섰다.
국내 시장 축소, 위기 속에서 기회를 찾다
국내 분유 시장 규모는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다. 유로모니터의 조사에 따르면, 2017년 4314억원이었던 국내 시장 규모는 현재 3000억원 미만으로 줄어들었다.
한국 유업계는 해외 시장으로의 수출 확대와 국내에서의 경쟁 강화를 동시에 추진하며 위기 속에서도 새로운 기회를 찾고 있다.

- 테이스트아틀라스 선정 ‘세계 최악의 한국 음식’ 2위 번데기, 1위는 놀랍게도…
- 볶음밥에 제발 ‘이것’ 넣으세요…이 레시피는 평생 인정받습니다
- “다이어트 성공 비법은…” 가수 미나 시누이 ‘이 음식’ 끊고 57kg 감량 성공했다
- 의외로 주부들도 잘모르는 냉장고에 보관 금지인 음식들 15가지
- 냉동 볶음밥 그냥 먹지 마세요…제발 ‘이것’과 함께 드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