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들어올 때 노 젓는다”… ’42조’ 과감한 승부수에 업계 ‘주목’

226
친환경차로 2030년 233만대 판다
기아, 전기차·PBV 강화로 글로벌 공략
기아
기아 ‘2025 서울모빌리티쇼’ / 출처 = 뉴스1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목표는 줄었지만 방향은 더 뚜렷해졌다.”

기아가 2030년까지 글로벌 시장에서 419만대를 판매하겠다는 중장기 전략을 다시 꺼내 들었다. 지난해 제시했던 430만대보다 11만대 낮춘 수치지만, 전동화 중심의 전략은 오히려 더욱 명확해졌다.

전체 판매의 절반 이상인 233만대를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등 친환경차로 채우겠다는 계획이다. 기아는 9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개최한 ‘2025 CEO 인베스터 데이’를 통해 이 같은 전략을 공개했다.

기아는 2021년 ‘기아 트랜스포메이션’ 선언 이후 추진해 온 변화의 성과를 이날 행사에서 공유했다. 이어 글로벌 불확실성 속에서도 미래차 경쟁력 강화를 이어가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기차, 하이브리드 확대…친환경차 비중 ‘절반 넘는다’

기아
기아 전략 발표 / 출처 = 뉴스1

기아가 세운 2030년 판매 목표 419만대 중 약 56%에 달하는 233만대가 친환경차다. 전기차는 125만 9000대, 하이브리드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107만 4000대 수준으로 계획됐다.

시장별로 보면 북미(70%), 유럽(86%), 국내(73%), 인도(43%) 등 주요 지역에서 친환경차 비중이 눈에 띄게 높아질 전망이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기아는 현재 9종인 전기차 모델을 2030년까지 15종으로 확대하고, 내연기관 모델은 23종에서 17종으로 줄인다.

기아
EV5 / 출처 = 기아

EV2, EV3, EV4, EV5 등의 대중형 전기차가 순차적으로 출시되며, 특히 2026년 EV2를 통해 전기차 보급의 벽을 낮추겠다는 계획이다.

충전 인프라도 대폭 확충된다. 국내에서는 2030년까지 초고속·급속 충전기 1만3000기 이상, 북미는 5만기, 유럽은 1만7000기 이상을 구축한다.

PBV와 픽업트럭,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기아
PV5 / 출처 = 기아

기아는 전기차 외에도 PBV(목적 기반 차량)와 픽업트럭을 주요 성장축으로 삼는다. 올해 하반기 출시되는 PV5를 시작으로 2029년까지 PV7, PV9을 포함한 다양한 PBV 모델을 선보인다.

기아는 PBV를 승객용 ‘피플무버’, 업무용 ‘유틸리티’, 물류용 ‘딜리버리’ 등 세 가지 유형으로 구성해 글로벌 수요에 대응한다. 2030년까지 유럽, 국내, 기타 지역을 포함해 총 25만대의 PBV 판매를 목표로 한다.

픽업 부문에서는 지난해 공개된 ‘타스만’이 첫 주자다. 기아는 타스만을 통해 연간 8만대 규모의 판매를 기대하고 있으며, 북미 시장에는 전기 픽업 모델을 투입해 연간 9만대 판매, 시장점유율 7%를 노린다.

투자 42조원…“중장기 전략 실행에 총력”

기아
기아 / 출처 = 연합뉴스

기아는 이번 중장기 전략 실행을 위해 향후 5년간 총 42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전동화, SDV(소프트웨어 정의 차량), 도심항공모빌리티(AAM), 로보틱스 등 미래 사업에만 19조원이 투입된다.

송호성 기아 사장은 “기아는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서, 시간과 공간을 새롭게 정의하는 브랜드가 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어 “변화하는 시장에 민첩하게 대응하며 지속 성장을 이어가겠다”고 덧붙였다.

지역별 전략도 구체적이다. 미국에서는 친환경차 현지 생산 확대와 유연한 공급체계를 통해 2030년까지 101만대 판매를 목표로 한다.

유럽은 전기차 중심의 라인업 강화로 77만 4000대를, 인도에서는 딜러망 확대와 신차 출시를 통해 40만대를 판매할 계획이다.

국내 시장에서는 58만대 판매와 함께 EV 점유율을 끌어올려, 중국 브랜드 공세에 맞설 전략을 내세웠다.

실시간 인기기사

+1
0
+1
0
+1
0
+1
0
+1
0

자동차 랭킹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