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공장 중동에 세운 현대차
‘비전 2030’ 기회 삼아 도약 준비
전기차 전환에도 본격 가속

14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킹 살만 자동차 산업단지 한복판에서 중동 시장을 향한 현대자동차의 야심찬 시동이 울려 퍼졌다.
현대차는 사우디 국부펀드(PIF)와 손잡고, 중동 최초의 생산 거점을 착공하며 ‘사우디 대표 브랜드’로 거듭나기 위한 행보를 본격화했다.
중동에서 ‘현지화’ 시동 건 현대차

HMMME는 현대차가 30%, 사우디 국부펀드가 70% 지분을 보유한 합작 법인으로, 내년 4분기부터 가동을 시작해 연간 5만대 규모로 전기차와 내연기관차를 함께 생산하게 된다.
킹 압둘라 경제도시 내 킹 살만 자동차 산업단지에 자리 잡은 이 공장은 중동 전역에서 커져가는 전기차 수요에 발 빠르게 대응하기 위한 전진 기지다.
현대차의 이번 결정은 사우디 정부의 ‘비전 2030’ 전략에 발맞춘 동시에,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선점하려는 복합적인 전략이다.

PIF의 야지드 알후미에드 부총재는 착공식에서 “이번 공장은 사우디 자동차 산업 발전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며, “현대차와의 파트너십은 기술 경쟁력 확보와 인재 육성을 동시에 가능케 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차 장재훈 부회장도 이날 축사를 통해 “사우디 진출은 새로운 시대를 여는 상징적인 발걸음”이라며, “현지 모빌리티 생태계에 기술과 경험을 녹여낼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친환경차 수요가 커지고 있는 만큼 전기차 생산을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흐름에도 적극 대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세전쟁 속 ‘사우디 전초기지’ 노린다

이같은 현대차의 행보는 중동 시장 공략을 넘어, 글로벌 무역 질서 속 관세 부담을 줄이기 위한 포석이기도 하다.
사우디는 중동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현재 현대차는 16.1%의 점유율로 토요타에 이어 2위를 기록 중이다. 특히 엘란트라, 엑센트, 쏘나타 등이 현지에서 높은 인기를 끌고 있다.
올해 1분기 현대차는 사우디에서만 3만 5천 대를 판매하며 전년 동기 대비 25% 성장했다. 중동 전체 판매량은 같은 기간 6만 대로, 전년보다 10% 이상 증가했다.
친환경차 역시 호조세를 보이고 있다. 1분기 기준 1만대 이상이 팔렸고, 연간 3만 대 돌파도 가시권에 들어섰다.
판매 호조에 투자 탄력…국내는?

한편 일각에서 제기되는 해외 투자로 인한 국내 투자 축소 우려에 대해 장 부회장은 선을 그었다.
그는 “국내 투자는 여전히 그룹의 최우선 과제”라며, “올해 국내에만 25조원을 투자할 계획이고, AI, 로보틱스, 에너지 분야에도 지속적인 자금이 투입될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차는 사우디 국부펀드와 협력해 자사의 제조 기술력과 사우디의 인재·인프라를 결합, 현지 생산기지 HMMME를 미래 모빌리티 허브로 성장시킨다는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축이 이동하고 있는 지금, 현대차는 중동 한복판에서 새로운 기회를 잡으려는 시동을 걸었다.
실시간 인기기사
- 차체 키우더니 “벤츠 잡으러 왔다” … 크기 보자마자 ‘화들짝’, 실내 모습을 보니 ‘어이쿠’
- “그동안 봐온 기아차가 아니다” … 최초 공개에 세계도 ‘감탄’
- “코나, 셀토스보다 저렴하다” … 12.7km 연비 소형 SUV ‘등장’
- “노후자금 1억 보장해드립니다”… 24년 만의 ‘역대급 혜택’에 중장년층 ‘웃음꽃’
- 차체 키우더니 “벤츠 잡으러 왔다” … 크기 보자마자 ‘화들짝’, 실내 모습을 보니 ‘어이쿠’
- “고령층 때문에 한국 경제 망한다”… 전문가들 섬뜩한 경고에 60대 ‘눈물’
- “그동안 봐온 기아차가 아니다” … 최초 공개에 세계도 ‘감탄’
- “코나, 셀토스보다 저렴하다” … 12.7km 연비 소형 SUV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