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fapjunk.com

이토록 친밀한 실수들

건축사무소 ‘사사건건’을 운영하고 있다. 사사건건이라는 이름이 재미있는데
이것저것 다 만들 것 같고, 조금 꼼꼼한 느낌이 있는 이름이라 마음에 들었다. 건축학과 출신 중 가구와 작업을 싫어하는 이가 많은데 나는 그 반대다. 작은 것까지 하고 싶은 사람이다. 처음부터 끝까지 혼자 만들 수 있는 작업이 재미있다. 그런 측면에서도 나와 잘 어울리는 이름이다. 사사건건으로 작업을 전개한 지 4년 정도 됐다. 그간 더퍼스트펭귄, 푸하하하프렌즈에 소속돼 있었고 이제는 독립적으로 스튜디오를 운영해 볼 예정이다.

현관부터 침실까지, 길게 따라 걸으면 ‘U’자 동선을 그리도록 고안된 전중섭의 집. 기다란 동선을 가진 공간을 원한 그는 집 한가운데 가벽을 세우고 벽장으로 수납과 공간 분리를 시도했다. 벽장 사이에 낸 이른바 ‘게으름의 게이트’ 덕분에 주방과 거실 간의 이동이 쉬워졌다.

현관부터 침실까지, 길게 따라 걸으면 ‘U’자 동선을 그리도록 고안된 전중섭의 집. 기다란 동선을 가진 공간을 원한 그는 집 한가운데 가벽을 세우고 벽장으로 수납과 공간 분리를 시도했다. 벽장 사이에 낸 이른바 ‘게으름의 게이트’ 덕분에 주방과 거실 간의 이동이 쉬워졌다.

사무소의 이름을 닮은 집이다. 구석구석 들여다보고 필요에 따라 직접 만든 사물의 존재감이 빛난다
사사건건 작업으로 관심이 가는 형태 중에서 ‘해결만 된 형태’가 있다. 디자이너가 드러나지 않거나, 디자인되기 직전인 형태들. 문제가 해결된 그 상태에서 최소한으로 작업해 만들어내는 걸 좋아한다. 이 집엔 사사건건에서 작업해 본 샘플도 있고, 집의 필요에 따라 직접 여러 재료로 만든 것도 있다. 입주할 땐 벽면 페인트도 칠해져 있지 않은, 말하자면 ‘해결도 안 된’ 상태였는데(웃음) 살면서 계속 뭘 만들고 추가하는 중이다.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며 만든 집이랄까. 싱크대는 이전 집에 있던 것을 가져와 이 집 크기에 맞게 키메라처럼 덧붙였다. 서재 테이블도 마찬가지. 원래는 타원형만 있었는데 조금 더 큰 크기가 필요해 추가로 만들어 합쳤다. 대부분의 가구를 모듈형으로 만들어 필요에 따라 변형하고 확장하고 축소해 사용할 수 있다.

주방 그리고 장롱 역할을 하는 벽장은 모두 모듈식이다. 소나무 합판으로 직접 만든 벽장에는 타투를 새기듯 마음에 드는 선과 그림을 천천히 그려 넣었다.

주방 그리고 장롱 역할을 하는 벽장은 모두 모듈식이다. 소나무 합판으로 직접 만든 벽장에는 타투를 새기듯 마음에 드는 선과 그림을 천천히 그려 넣었다.

현관이나 주방을 거쳐 침실까지 닿는 동선이 ‘U’ 자로 길게 이어지는 구조 역시 독특하다. 이 집이 마음에 든 이유는
사실 무척 작은 집인데 전 주인이 주방과 창고와 김치냉장고가 있던 방 사이에 작은 문을 만들었더라. 그 문을 보는 순간 내가 원하는 집의 동선이 머릿속에 그려졌다. 보통의 아파트 구조, 거실이 한가운데에 자리하는 공간이 나에겐 심심하고 답답하게 느껴진다. 집을 구상할 땐 동선과 구조를 바꾸는 일부터 고민하는데, 이번엔 전 주인이 만든 작은 문이 생각의 물꼬를 터줬다. 항상 구조와 동선상 길쭉한 집을 만들고 싶고, 침실은 가장 깊숙한 곳에 두고 싶었다. 물론 ‘U’ 자 구조 사이에 거실과 주방을 단숨에 오갈 수 있는 ‘게으름의 게이트’를 하나 만들어두긴 했지만(웃음). 저게 없었다면 솔직히 조금 힘들었을 것 같다.

전중섭이 자신의 건축사무소 ‘사사건건’을 운영하며 관심을 가져온 ‘해결만 된 형태’들은 최소한으로 발전시켜 완성한 가구와 사물.

전중섭이 자신의 건축사무소 ‘사사건건’을 운영하며 관심을 가져온 ‘해결만 된 형태’들은 최소한으로 발전시켜 완성한 가구와 사물.

직접 구상하며 집의 전체적 인상을 결정할 수 있었던 오브제를 하나 꼽아본다면
현관에서 주방으로 이어지는 구간의 벽면에 소나무 합판으로 만든 벽장이 있다. 옷도 수납하고 갖가지 물품을 넣는데, 그 무렵 한창 진행한 프로젝트에서 프레스코화로부터 모티프를 얻는 기회가 생기면서 프레스코화에 매력을 느껴 그림을 그려 넣었다. 그림 중 하나는 오래된 성당의 기둥인데, 세월이 지나면 기둥들이 터지기 때문인지 띠를 둘러 묶는 디테일이 좋아서 그려봤다. 최근 이탈리아 소도시로 여행을 다녀왔는데, 군사 시설의 천장에도 프레스코화를 그렸더라. 그 시대엔 천장에 프레스코화가 없다는 사실을 받아들일 수 없었던 것 아닐까. 관습 자체가 멋지게 남아 있는 것도 좋은 것 같다. 이런저런 아이디어들을 꽤 자유롭게 적용해보고 있다. 이 집에선 내 공간이고 내 것이니까 신나게 실수해 가면서 이것저것 만든다.

취향과 미감, 필요에 따라 만들고 배치하고 모은 사물이 모여 좋은 합을 이뤄냈다
집 고치는 게 가장 재미있는 일 같다. 방 구조를 바꾸고, 가구의 배치를 바꾸고. 나와 오랜 시간을 보낸 물건은 서로 어떻게 해야 어울리는지 알지만 새 집에 들어서면 다시 두고 써봐야 알기에 오래 들여다 보는 중이다.

공간을 채우는 동안 연상하거나 영감받은 레퍼런스나 무드가 있나
집을 구성할 때 집 전체보다 사물 하나를 먼저 떠올리는 편이다. 주로 사물과 관련된 레퍼런스를 보는데, 테이블을 디자인할 때 절대 테이블을 찾아보지 않는다. 오히려 옛날 비행기나 우주선 같은 것들을 본다. 고도화돼 해결된 형태나 산업화된 구조물에서 발견할 수 있는, 작은 것이 모여 전체를 이루는 모습을 볼 때 편안함을 느낀다.

공간에 충분한 레이어를 만들고 싶었던 전중섭의 의도대로 20평대의 집은 문 없이도 주방과 두 개의 작은 방, 거실, 침실까지 다섯 개의 독립된 공간으로 나뉜다.

어느 집에서든 ‘나’의 공간이라면 빠질 수 없는 것
생활하는 동안 내 시야에 다른 사람의 일상이 안 보이는 공간. 그래서 공간적인 레이어를 많이 만든다. 그래야 집에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이 기사에 대해 공감해주세요!
+1
0
+1
0
+1
0
+1
0
+1
0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