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선의 여왕, 자하 하디드

214
자하 하디드

자하 하디드

유려하게 이어지는 곡선과 복잡한 기하학, 하나의 유기체를 이루는 형태. ‘자하 하디드(Zaha Hadid)’ 하면 떠오르는 특징적 요소다. ‘곡선의 여왕(Queen of the Curve)’이라 불리는 하디드는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고 자연에서 영감을 얻은 디자인과 최신 기술을 통합해 상징적 건축 스타일을 정립했다. 현대건축의 풍경을 바꾼 그녀는 1950년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태어나 대학에서 수학을 전공한 뒤, 런던으로 건너가 영국건축협회 건축 학교에서 공부했다.

주변 산의 경관을 해치지 않기 위해 이탈리아 크론플라트츠 산의 정상을 뚫어 산의 일부인 것처럼 설계한 ‘메스너 마운틴 뮤지엄(Messner Mountain Museum)’.

주변 산의 경관을 해치지 않기 위해 이탈리아 크론플라트츠 산의 정상을 뚫어 산의 일부인 것처럼 설계한 ‘메스너 마운틴 뮤지엄(Messner Mountain Museum)’.

구조가 아닌 표면을 강조하는 아제르바이잔 바쿠에 있는 ‘게이다르 알리예프 센터(Heydar Aliyev Center).

구조가 아닌 표면을 강조하는 아제르바이잔 바쿠에 있는 ‘게이다르 알리예프 센터(Heydar Aliyev Center).

당시 하디드는 해체되는 추상화에 관심이 많았다. 특히 러시아 구성주의 조각가 나움 가보(Naum Gabo)의 조각품과 화가 카지미르 말레비치(Kazimir Malevich)의 추상 작품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고, 추상화와 파편화 그리고 움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적 디자인을 자신의 건축세계에 도입했다. 홍콩의 레저 센터 ‘피크(Peak)’의 설계가 시작점이었다. 언덕을 굴착하고 제거한 암석을 사용해 인공 절벽을 만들어 부지를 변화시켰다. 구조물을 마치 쪼개진 것처럼 보이도록 설계하고, 중력을 거스르며 공중에 떠 있는 것처럼 계획했다.

194.15m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아트리움을 조성한, 중국 베이징의 ‘리자 소호(Leeza Soho)’.

194.15m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아트리움을 조성한, 중국 베이징의 ‘리자 소호(Leeza Soho)’.

비록 준공되지는 않았지만 ‘피크’의 드로잉과 도면은 하디드의 획기적인 프로젝트이자 디자인 도구로서 회화를 탐구하는 기점이 됐다. 이 실험을 기반으로 그녀는 원근법을 왜곡하고 파편화된 형태를 마음껏 구현하기 시작했다. “초기 작업에서는 드로잉과 추상화, 파편화에 중점을 두었다가 최근에는 좀 더 유동적인 건축이 되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변화’가 아니라 ‘발전’이 이뤄지고 있는 거다.” 한 인터뷰에서 남긴 하디드의 말처럼 그녀는 건축 표현의 관습을 뛰어넘어 자신만의 독특한 건축을 전개했다. 전 세계에서 수많은 프로젝트를 맡으며 21세기 건축을 재정의한 것이다.

4개의 돔으로 이뤄진 중국 베이징의 ‘갤럭시 소호(Galaxy Soho)’.

4개의 돔으로 이뤄진 중국 베이징의 ‘갤럭시 소호(Galaxy Soho)’.

2012년 올림픽을 위한 런던 수영 센터, 로마의 MAXXI 21세기 국립미술관, 광저우 오페라하우스, 신시내티의 현대예술센터 등 세계의 상징적 건축물을 통해 하디드의 건축적 실험은 무한대로 확장됐다. 도시와 건축, 디자인이라는 상호 관계를 30년 이상 탐구하고 연구한 하디드의 설계는 주변 환경으로부터 진화하고, 방문자가 건물 구조 안에서 자연스럽게 다른 요소와 상호작용하며 건물 전체를 탐험하게 만든다. 이는 하디드가 지닌 연결성과 통합에 관한 철학, 미래에 대한 낙관적 관점을 보여준다.

세계 최대 규모의 비정형 알루미늄 패널로 유기적 형태를 완성한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세계 최대 규모의 비정형 알루미늄 패널로 유기적 형태를 완성한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우리가 시도하는 많은 작업은 예상치 못한 몰입형 환경에 대한 실험으로 지적인 것을 감각적인 것으로 전환하는 건축을 만드는 일이다.” 자신의 커리어 전반에 걸쳐 하디드는 많은 상으로 영예를 안았다. 유네스코는 하디드를 ‘평화를 위한 예술가’로 선정했다. 2004년에는 프리츠커상을 수상한 최초의 여성 건축가가 됐다. 2011년에는 우수한 건축에 훈장을 주는 스털링 프라이즈를 수상했다. 하지만 자하 하디드의 진정한 업적은 따로 있다. 건축을 바라보는 모두의 시야를 넓혀 다음 세대의 수많은 건축적 사고에 새로운 영감을 불어넣었다는 사실이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