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비중 높고 부채 많은 지역, 美 금리인상 충격 더 컸다

166

美 통화 정책 영향 3년 지속

“중장기적 부채 조정 필요”

금리 상승 이미지. ⓒ연합뉴스 금리 상승 이미지. ⓒ연합뉴스

제조업 비중이 높거나 가계부채가 많이 누적된 지역일수록 미국의 금리 인상, 유가 상승의 대외 충격을 더 크게 받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26일 발표한 지역경제보고서에서 “대외개방도가 높은 지역일수록, 고령화가 심화된 지역일수록, 비정규직 비중이 높을수록, 가계부채가 많이 누적된 지역일수록 미국 통화정책 및 유가 충격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고 밝혔다. 다만 지정학적리스크 충격에는 지역별 반응 차이가 두드러지지 않았다.

한은이 대외충격을 미국 통화정책, 국제유가, 지정학적리스크 부문으로 구분하고, 한은에서 개발한 지역경기전망지수를 활용해 분기별 지역별 경기의 반응을 포착한 결과다.

분석 결과 미국 통화정책(금리 인상)과 유가 상승 충격이 지역 생산을 감소시키는 효과는 1년 이상 시차를 두고 서서히 나타났다.

특히 미국 통화정책 충격의 영향은 3년(12분기)이 지난 시점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이는 유가 충격(6~10분기)보다 오래 지속됐다.

반면 지정학적리스크 충격의 효과는 즉시(1~3분기) 나타났다가 빠르게 소멸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은은 “제조업 비중이나 부채비율이 높은 지역일수록 대외충격 발생 시 기업과 주민들의 어려움이 가중될 것을 감안해 재정 지출 등을 신속히 조정할 수 있는 유연한 체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미국 통화정책 충격은 영향이 오래 지속되는 만큼 경제 주체들이 중장기적인 시계에서 부채조정 등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분석이다.

또 국제유가 충격의 경우 비영구적인 가격 조절 정책 등을 통해 유류 구입부담을 가능한 평평하고 넓게하는 방안이 유효하다고 봤다. 지정학적리스크 충격은 중앙정부 주도로 시나리오 분석 등을 통해 취약 부문의 위험에 대비하면서도 과도한 심리 위축을 방지하는 역할이 중요하다는 조언이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