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펜트업 효과? 이젠 옛말”…고금리·고령화에 민간소비 회복 게걸음

79
사진연합뉴스
서울의 한 대형마트 전경 [사진=연합뉴스]

코로나 엔데믹을 기점으로 회복세를 이어가던 국내 소비수요가 다시 둔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수출 부진에 따른 국내 경제 성장을 소비가 뒷받침했으나 사회적 거리두기 종료에 따른 경제활동 재개 이후 서비스 펜트업(Pent-Up·위축된 경제활동 해소) 수요가 상당부분 소진됐고 고금리·고물가 영향 등에 따른 재화소비 부담도 큰 것으로 보인다.

18일 한국은행 조사국 동향분석팀은 이날 홈페이지에 게시된 ‘최근 민간소비 흐름 평가 및 향후 여건 점검’ 제하의 보고서를 통해 “국내 민간소비는 지난해 이후 재화소비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4분기 서비스소비도 둔화되면서 회복 모멘텀이 약화되고 있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이 보고서는 2024년 통화신용정책방향 논의와 관련해 개별 이슈에 대한 한은 분석을 담은 것이다. 

이 같은 소비 개선 약화 현상은 한국 뿐 아니라 주요국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그 배경과 둔화속도 등은 개별 국가마다 차이가 있다. 우선 미국의 경우 견조한 노동시장과 가계의 양호한 재무상황 등을 배경으로 빠른 회복세를 지속하고 있다. 그러나 유로지역과 일본은 경기 부진과 실질소득 감소 등으로 한국보다도 회복이 더딘 것으로 파악됐다.

한은은 국내 민간소비에 있어 가계 실질소득 개선이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채무부담 누증과 급속한 고령화, 팬데믹 이후 소비패턴 변화 등에 따른 소비성향 제약 가능성을 감안하면 회복 속도가 더딜 것으로 예상됐다. 이 중 실질소득 약화는 기업실적 하락과 고물가 영향으로 가계소비 제약요인으로 작용했으나 향후 수출 개선과 물가 안정화 속 개선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이자비용의 경우  금리 상승세가 본격화된 지난 2022년부터 대출이 많은 중·고소득층을 중심으로 가계 소득대비 이자부담이 급증해 소비여력(실질가처분소득) 개선을 제한할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국내 민간소비 개선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크다고 평가했다. 한은 관계자는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될지, 또는 인구 고령화나 소비패턴 변화 등 구조적 요인으로 팬데믹 전보다 낮은 수준에서 유지될지는 여전히 불확실성이 높다”고 부연했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