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날씨 충격, 근원물가 영향 미미…통화정책 대응 경계해야”

10
이투데이DB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기온ㆍ강수량 변화, 소비자물가 단기적 상승 야기
기조적 물가엔 별영향 없어…공급처 다변화 주문

날씨 여건 변화가 단기적으로 농산물 등 소비자물가 상승에 영향을 주지만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나타내는 근원물가(식료품 및 석유류 제외)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국책연구기관의 분석이 나왔다.

이에 따라 일시적인 신선식품 가격 변동에 통화정책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9일 ‘기상 여건 변화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이란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최근 과일을 중심으로 신선식품 가격이 큰 폭으로 오른 상황이다. 이는 기상 여건 악화에 따른 작황 부진에 크게 기인한다.

일조량이 부족하거나 여름철의 예상치 못한 집중호우 등으로 인해서 강수량이 많아지게 되는 경우 작황 부진으로 공급량이 줄어 과일 등 신선식품 가격이 오르는 것이다.

이러한 신선식품 가격 급등으로 인해 소비자물가가 상승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고, 통화정책으로 이를 대응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KDI가 기온과 강수량 충격이 소비자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강수량이 과거 추세 대비 100mm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경우 소비자물가가 단기적으로 0.07%포인트(p)까지 증가했다. 특히 여름철 강수량이 과거 추세 대비 100mm 증가하는 경우 단기적으로 0.09%p 상승하고, 100mm 감소하는 경우 0.08%p 올랐다.

기온의 경우 과거 추세 대비 10℃ 상승 또는 하락하는 경우 단기적으로 0.04%p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진은 “소비자물가가 날씨 충격 발생 2개월 후 정점에 도달할 때까지 상승하나 3개월부터는 효과가 미미하게 나타났다”며 “날씨 충격이 소비자물가 상승에 단기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반면 날씨 충격이 근원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소비자물가와 다르게 굉장히 미미했다고 분석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2.9% 상승한 반면 식료품 및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2.3% 상승에 그친바 있다.

연구진은 소비자물가와 근원물가 간 괴리된 정도가 1년 후 3분의 2 내외, 2년 후에는 완전히 소멸된 점을 근거로 제시했다.

연구진은 “신선식품가격 등 식료품 및 에너지 가격 변동에 따른 소비자물가와 근원물가 간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중기적으로는 소비자물가가 근원물가에 회귀하는 경향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는 일시적인 신선식품가격의 급등이 단기적으로는 소비자물가 상승을 유발하겠으나, 물가의 기조적 흐름에는 별 영향이 없음을 의미한다”고 부연했다.

따라서 중기적 관점에서 물가 안정을 추구하는 통화정책이 일시적인 신선식품가격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연구진은 국지적 날씨 충격이 소비자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 농산물 수입 확대와 같이 공급처를 다변화하는 등의 구조적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아울러 기후 변화에 대응해 품종 개량 등으로 기후적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