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비싼 면역항암제도 안 듣더니…간암 환자 수명 늘린 방법 [헬시타임]

37
그 비싼 면역항암제도 안 듣더니…간암 환자 수명 늘린 방법 [헬시타임]
유창훈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가 간암 환자를 진료하고 있다. 사진 제공=서울아산병원

면역항암제를 투여해도 악화됐던 간암 환자에게 표적치료제를 사용하면 생존기간 연장에 도움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유창훈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팀은 면역항암제 치료에도 효과를 보지 못한 간세포암 환자 47명을 대상으로 다중 표적치료제인 ‘카보메틱스(성분명 카보잔티닙)’를 2차치료제로 사용한 결과 평균 생존기간이 14.3개월로 집계됐다고 24일 밝혔다.

카보잔티닙을 포함한 다중 표적치료제는 현재 임상 현장에서 수술이 불가능한 간세포암 환자의 2번째 치료 약물로 사용된다. 다만 후향적 연구 결과를 근거로 쓰이고 있을 뿐 명확한 근거는 부족한 상황이다.

유 교수팀은 울산대병원, 홍콩 중문의대 부속병원 연구팀과 함께 수술이 어려워 면역항암제를 썼지만 반응을 보이지 않고 암이 악화된 간세포암 환자 47명을 대상으로 2020년 10월부터 2022년 5월까지 카보잔티닙을 투여했다. 또 1차치료제로 투여한 면역항암제 종류와 치료 횟수, 카보잔티닙 치료 순서 등에 따라 세부 집단으로 나눠 경과를 살폈다.

1차로 사용한 면역항암제의 종류와 관계 없이 카보잔티닙을 2차치료제로 쓴 17명은 평균 14.3개월의 생존 기간을 보였다. 반면 카보잔티닙을 3차 치료제로 사용한 환자들은 평균 생존 기간이 6.6개월로 절반에도 못 미쳤다. 카보잔티닙의 평균 치료 기간은 2.8개월이었으며 카보잔티닙 치료를 시작한 후 전체 생존기간은 평균 약 9.9개월이었다.

환자들이 카보잔티닙 치료 후 경험한 이상반응은 손·발바닥 홍반성 감각이상, 피로감, 고혈압, 설사 등이었다. 기존 연구에서 보고된 것 외에 새로운 이상반응은 없었고, 대부분 약물치료로 호전됐다. 치료 시작부터 전 과정을 연구팀이 직접 추적 관찰하는 전향적 연구 방식으로 진행돼 간세포암의 2차 치료제로서 카보잔티닙의 임상적 유용성에 관한 신뢰도 높은 근거를 마련한 것이다.

유 교수는 “지금까지 수술이 불가능한 간세포암의 2차 치료법은 전 세계적으로 정립된 표준 가이드라인이 없었다”며 “비록 임상 2상 연구 결과이기는 하나 카보잔티닙이 간세포암 2차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정확한 근거가 마련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그 비싼 면역항암제도 안 듣더니…간암 환자 수명 늘린 방법 [헬시타임]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