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이카(KOICA, 한국국제협력단)는 국제개발협력을 알리고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한 아이디어를 국내외에 전파할 ‘코이카 글로벌 서포터스 위코(WeKO)’ 6기를 7월 25일까지 모집한다고 9일 밝혔다.
2019년 대국민 소통 프로그램으로 출범한 위코는 ‘우리 모두가 코이카(We are KOICA)’라는 뜻으로, 일반 국민 눈높이에서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기 위한 행동과 의미를 홍보하는 역할을 지속해 왔다.
특히 이번 위코 6기는 기존 사회관계망서비스(SNS)는 물론, 최근 화두로 떠오른 인공지능(AI) 기술 및 서비스를 접목해 획기적이고 창의적인 홍보 미션을 수행하며 대한민국을 넘어 전 세계적인 트렌드를 선도할 크리에이터로서 주목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역대 위코 기수 최초로 서포터스 130명 선정 외에도 AI 가상인물을 활용해 코이카의 브랜드 정체성을 담은 ‘버추얼 서포터스’를 도입하는 등 위코의 활동 영역이 글로벌을 넘어 AI까지 확장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위코는 만 16세 이상이라면 국적이나 인종, 성별에 상관 없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모집 인원은 △대학(원)생 부문 81명(개인·팀 단위 지원) △일반 부문 18명(고등학생 포함 개인·팀 단위 지원) △글로벌 부문 31명(개인 지원) 등 총 130명이다. 글로벌 부문은 국내 거주하는 외국인 또는 외국에 거주하는 한국인 및 외국인이 대상이다.
우대 대상은 △공적개발원조(ODA) 및 국제개발협력 분야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자 △SNS 콘텐츠 제작 및 소셜미디어 활동 경험자 △대외 활동(해외 봉사, 기자단, 서포터스 등 포함) 경험자 △영상, 사진 촬영, 기사 작성 경험자 △코이카 및 ODA 사업 참여 등 관련 경험이 있는 자 등이다.
위코는 1차 서류전형, 2차 온라인 화상면접을 거쳐 최종 선발된다. 선발자는 8월 9일 오프라인 발대식을 시작으로 약 5개월 간 위코 6기로 활동하게 된다.
주요 활동 내용은 △국민 참여 오프라인 팝업 전시 행사 참여 △ODA 문화 캠페인 기획 및 참여 △국제개발협력 관련 홍보 콘텐츠 제작 및 홍보 캠페인 참여 등이다.
서포터스에게는 매월 소정의 활동비와 교통비, 글로벌 네트워킹 프로그램이 지원되며, 활동 완료 후에는 수료증이 주어진다. 월별 우수 활동자와 팀에게는 포상금이 지원되고, 최종 활동 우수자에게는 △코이카 이사장상 및 상금 수여 △코이카 홍보 인턴 지원 시 가점 부여 등 다양한 혜택이 제공된다.
- 노코드 XR 콘텐츠 제작엔진 개발사 인터랙트, 시리즈 A 투자유치 시작
- Kroma, SK플래닛과 마케팅 파트너십 체결
- 스쿨플랫, 서울시교육청 주최 ‘에듀테크를 통해 수업에 색을 더하다’ 교사 연수 참여
- 고이장례연구소, 서울지방변호사회와 상조 서비스 제휴 협약 체결
- 닥터다이어리, 삼성증권 주관사 선정… IPO 준비 본격화
경제 랭킹 인기글
-
“2040년엔 37.8%까지 증가” … 여성 가장 가구 급증, 경제적 현실과 미래”
-
“연상·연하 커플 ‘나이차’가 더는 장벽이 아니다”… 달라진 한국 결혼 풍경
-
“결국 사장이 없어도 돌아가는 회사” … 성공 사업가 DNA 분석, 시스템 구조화·자동화가 장기 성공 비결
-
“세금 안 올리면 나라 망한다”… 감세 정책 ‘완전히 끝’, 세금 폭탄 쏟아지자 ‘발칵’
-
한국 이겨보겠다더니 “이게 무슨 망신”… 예상 못한 전개에 중국 지도부까지 ‘허둥지둥’
-
“피 같은 돈 21조 쪽쪽 빨아먹고도 모자랐나”… 대통령까지 ‘분노 폭발’, 서민들 등골 노린다
경제 최신 인기글
-
“피 같은 돈 21조 쪽쪽 빨아먹고도 모자랐나”… 대통령까지 ‘분노 폭발’, 서민들 등골 노린다
-
“대한민국은 역시 부동산의 나라인가” … 주식·코인보다 이곳에, ‘짠희’ 임원희도 선택한 투자처의 정체
-
“절반이 일반인과 결혼?” … 대기업 총수 자녀 최근 10년 변화, 외국인·일반 직장인 배우자 급증
-
“결국 사장이 없어도 돌아가는 회사” … 성공 사업가 DNA 분석, 시스템 구조화·자동화가 장기 성공 비결
-
한국 이겨보겠다더니 “이게 무슨 망신”… 예상 못한 전개에 중국 지도부까지 ‘허둥지둥’
-
“2040년엔 37.8%까지 증가” … 여성 가장 가구 급증, 경제적 현실과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