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경제신문 = 문홍주 기자] 대출금을 제때 상환하지 못해 경매로 넘어간 부동산이 2013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며 시장에 긴장감을 더하고 있다.
경기 침체와 고금리 상황이 맞물리면서 특히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경매 시장이 빠르게 팽창하는 모습이다.
아파트 경매 물건, 11년 만에 최고 수준
법원경매 전문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2024년 11월 기준 전국에서 진행된 경매 물건은 총 12,456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약 18% 증가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 경매 시장이 꾸준히 안정세를 보였던 점을 고려할 때 매우 이례적인 수치다.
특히 경기도에서 경매로 넘어간 물건 수는 전체의 약 40%를 차지하며, 이 지역이 부동산 시장의 구조적 취약점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대출 의존도가 높은 지역일수록 금리 상승에 따른 부담이 커져 경매 시장에 빠르게 반영된다”고 분석했다.
대출 부담과 금리 상승의 여파
경매로 넘어간 주요 물건 중 절반 이상이 아파트로 나타났다. 이는 자산 가치를 믿고 대출을 실행한 사례가 많았던 점과, 최근 금리 인상으로 상환 부담이 급격히 늘어난 데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부동산 시장의 불안정성이 지속되면서 수도권의 경매 물건이 계속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도 나온다. 특히 인천·경기 지역의 부동산은 가격 하락세와 거래 절벽 현상이 맞물려 경매 진행 건수가 급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경매 물건 증가는 시장의 과잉 공급을 의미하며, 이는 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경매 시장 안정화 방안 필요
정부 역시 이 같은 흐름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 국토교통부는 대출금리 안정화 방안과 취약계층 금융 지원 정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단기적 대책만으로는 경매 시장 과열을 막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다수의 경제 전문가들은 “근본적인 대책은 대출금리 안정화와 주택 시장의 수요·공급 균형을 맞추는 것”이라며 “특히 경매 시장이 확대되는 이유를 면밀히 분석해 중장기적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매 시장의 과열이 장기적으로 부동산 시장 전체에 미칠 파급 효과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가운데, 정부와 시장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 [ESG 리더스]LG생활건강 ESG팀 황희선 파트장 “어르신의 고맙다는 메시지… 기부의 보람”
- ‘SK가(家) 장손’ 최영근, SK디스커버리 지분 확대 왜?…최창원-최민근, 경영승계 구도 가능성
- [제약·바이오 이모저모] 보령, 대만 로터스와 CDMO 계약 체결… 항암 주사제 생산 담당 外
- ‘하나·KB금융’ 外 5개 종목 ‘밸류업 지수 추가 편입’···한국거래소, 지수 확대 개편 발표
- 카이스트-HLB 협약 체결… 난치성 질환 신약 개발에 몰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