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이 설을 앞두고 소스류 제품 가격을 평균 19.1% 인상한다. 지난해 12월쯤 시작된 과자를 비롯한 가공식품 가격 인상에 연초에도 재현되는 모양새다.
6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대상은 오는 16일 청정원 마요네즈와 후추, 드레싱 가격을 최대 20% 이상 올린다.
프레시마요네즈(300g) 가격은 대형마트 기준 3100원에서 3380원으로 9.0% 오른다. 순후추(50g)는 3680원에서 4380원으로 19.0% 상향 조정된다. 이 밖에 드레싱류 가격은 평균 23.4% 인상된다.

식품업계는 지난해 말부터 재룟값과 물류 비용 증가 등을 이유로 가공식품 가격을 올리기 시작했다.
푸라닭치킨을 운영하는 아아이더스에프앤비는 지난해 12월 30일부터 바질페스타, 제너럴 핫 치킨, 파불로 치킨 등 3종을 제외한 치킨 메뉴 10종 가격을 최대 1000원 올렸다.
이에 앞서 커피빈은 초콜릿의 주원료인 카카오 가격 급등을 이유로 지난해 12월 26일부터 카페 모카, 더블 초콜릿 등 초콜릿 파우더가 포함된 음료 메뉴를 200원씩 인상했다.
실제 코코아 가격은 1년 전보다 170% 이상 뛰었고, 로부스타 커피와 아라비카 커피는 각각 90%, 100%쯤 올랐다. 팜유 가격도 1년새 18% 상승했다.
카카오 가격 급등은 초콜릿이 포함된 일부 과자 제조사들의 가격인상으로 이어졌다.

오리온은 지난달 초코송이와 오징어땅콩 등 13개 제품 가격을 평균 10.6% 인상했고, 해태제과도 홈런볼, 포키 등 10개 제품 가격을 평균 8.6% 올렸다.
동서식품은 지난해 11월 15일부로 인스턴트 커피·커피믹스·커피음료 등 제품 출고 가격을 평균 8.9% 올렸다.
오리온과 해태제과에서 제품 가격을 인상하면서 편의점과 대형마트들에서도 이같은 인상분이 반영됐다.
아직 추가로 가격 인상을 요청한 곳은 없으나 1월 말 가격 추이에 따라 가격 인상이 뒤따를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동아오츠카와 오뚜기도 이달 가격을 인상했다. 동아오츠카는 포카리스웨트와 데미소다 등 주요 제품 가격을 100원 인상했다. 오뚜기는 업소용 딸기잼 가격을 최대 10% 올렸다.

식품 업계에는 최근 원화 가치가 급격히 하락하면서 식품사의 원재료 수입 가격이 올라 식품 가격이 추가적으로 오를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정부도 식품 가격 인상을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이와 관련해 농식품부는 한 관계자는 “최근 환율 상승의 영향으로 국내 가공식품 가격 인상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며 “주요 식품 원자재에 할당 관세를 적용하고 다양한 세제와 자금 지원 등을 통해 식품·외식 물가가 안정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美, ‘중국군 지원 기업’에 CATL·텐센트 등 추가…경쟁 관계 한국기업 ‘반사이익’ 기대
- 핀다, 예적금, 대출에 이어 카드 비교·추천 서비스 출시
- 서울시 신규공무원 최고령 합격자는 56세…294명 선발
-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에 웃은 국민연금…지분 팔아 2000억 이상 차익
- [재무제표 읽는 남자] ‘인기템’ 스타벅스 다이어리와 다이어리 전문회사 양지사의 생존 전략
경제 랭킹 인기글
경제 최신 인기글
-
“피 같은 돈 21조 쪽쪽 빨아먹고도 모자랐나”… 대통령까지 ‘분노 폭발’, 서민들 등골 노린다
-
“대한민국은 역시 부동산의 나라인가” … 주식·코인보다 이곳에, ‘짠희’ 임원희도 선택한 투자처의 정체
-
“절반이 일반인과 결혼?” … 대기업 총수 자녀 최근 10년 변화, 외국인·일반 직장인 배우자 급증
-
“결국 사장이 없어도 돌아가는 회사” … 성공 사업가 DNA 분석, 시스템 구조화·자동화가 장기 성공 비결
-
한국 이겨보겠다더니 “이게 무슨 망신”… 예상 못한 전개에 중국 지도부까지 ‘허둥지둥’
-
“2040년엔 37.8%까지 증가” … 여성 가장 가구 급증, 경제적 현실과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