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의 허리라는 평가를 받는 중견기업들의 50% 이상이 올해 불확실한 시장상황과 경영실적 악화 때문에 ‘투자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미래 먹거리를 준비하는 대표적인 작업인 투자를 하지 않는 중견기업의 비율이 이 처럼 높게 나타남에 따라 한국경제의 허리가 휘청일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지난해 11∼12월 중견기업 800곳을 대상으로 ‘2025년 중견기업 투자 전망 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올해 투자 계획에 관한 물음에 있다고 한 기업은 응답 기업의 49.6%에 불과했다. 하지만 그보다 많은 50.4%의 기업은 투자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투자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기업 중에도 작년보다 투자 규모를 늘리겠다는 응답은 41.5%에 불과했으며, 전년 수준으로 유지하겠다는 답은 35.8%에 달했다. 투자 규모를 줄일 것이라는 응답은 22.7%로 조사됐다.
이는 전체 설문조사 대상 기업의 60%가 올해 투자계획이 없거나 투자를 단행해도 지난해보다 규모를 줄이겠다는 답한 셈이다.
올해 투자 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기업들은 불확실한 시장 상황(38.2%)과 경영 실적 악화(19.6%) 등 급격한 대내외 환경 변화에 대한 우려를 그 원인으로 꼽았다.
올해 투자 규모를 줄이겠다고 답한 중견기업들은 내수시장 부진(40.0%), 경기 악화 우려(24.4%), 생산 비용 증가(10.0%), 고금리·자금조달 애로(7.8%) 등을 이유로 제시했다.
투자 확대를 계획한 중견기업들은 주력사업 확장(35.7%), 신사업 진출 강화(26.7%), 해외 시장 진출 확대(17.0%), 노후 설비 개선·교체(11.5%) 등에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또 투자 계획이 있다고 답한 기업 중 해외 투자 계획이 있다는 기업은 19.6%에 그쳤다. 국내 설비 투자 계획이 있다는 답은 70.0%, 국내 연구개발(R&D) 투자 계획이 있다는 답은 37.0%로 집계됐다.
응답 기업들은 중견기업의 투자 확대를 이끌어 내기 위한 방안으로는 세제 지원 확대(38.0%), 물가 안정 및 내수 활성화(21.6%), 금리 인하(20.1%), 정책금융 강화(8.5%), 노동 등 경영 환경 개선(8.5%) 등이 거론했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중견기업의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정책금융의 문턱을 과감하게 낮추고 노동·환경·세제 등 법·제도 환경을 시급히 개선해해야 한다”고 말했다.
- 법인보험대리점 불완전판매 단속 강화…과징금 도입하고 배상책임 높여
- HJ중공업, 7700TEU급 LNG 이중연료 컨테이너선 인도…친환경 건조 기술력 재입증
- ‘설 연휴’ 고향갈 사람이 피해야 할 때는 24일 오후 5시경…서울-부산 최대 7시간
- 배달의민족, 내달 26일부터 수수료 2.0∼7.8%로 인하
- 취임 하루 만에 ‘관세 전쟁’ 나선 트럼프, “내달 1일부터 중국에 10% 관세 부과”
경제 랭킹 인기글
-
“고령자도 일하며, 꿈을 향해 사는 시대”.. 대한민국 신노년 경제활동
-
한국 이겨보겠다더니 “이게 무슨 망신”… 예상 못한 전개에 중국 지도부까지 ‘허둥지둥’
-
“대한민국 역사가 뒤집혔다”… 삼성의 23조 ‘사상 최대 잭팟’에 글로벌 업계 ‘기절초풍’
-
“피 같은 돈 21조 쪽쪽 빨아먹고도 모자랐나”… 대통령까지 ‘분노 폭발’, 서민들 등골 노린다
-
“결국 사장이 없어도 돌아가는 회사” … 성공 사업가 DNA 분석, 시스템 구조화·자동화가 장기 성공 비결
-
“절반이 일반인과 결혼?” … 대기업 총수 자녀 최근 10년 변화, 외국인·일반 직장인 배우자 급증
경제 최신 인기글
-
“피 같은 돈 21조 쪽쪽 빨아먹고도 모자랐나”… 대통령까지 ‘분노 폭발’, 서민들 등골 노린다
-
“대한민국은 역시 부동산의 나라인가” … 주식·코인보다 이곳에, ‘짠희’ 임원희도 선택한 투자처의 정체
-
“절반이 일반인과 결혼?” … 대기업 총수 자녀 최근 10년 변화, 외국인·일반 직장인 배우자 급증
-
“결국 사장이 없어도 돌아가는 회사” … 성공 사업가 DNA 분석, 시스템 구조화·자동화가 장기 성공 비결
-
한국 이겨보겠다더니 “이게 무슨 망신”… 예상 못한 전개에 중국 지도부까지 ‘허둥지둥’
-
“2040년엔 37.8%까지 증가” … 여성 가장 가구 급증, 경제적 현실과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