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25% 관세 부과에 캐나다 일부 주(州)정부들이 미국산 주류 판매를 중단하는 비관세 조치로 보복 대응에 나섰다.
2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캐나다 13개 주 가운데 인구가 가장 많은 온타리오 주정부는 4일부터 공기업인 LCBO 매장에서 미국산 수입품을 판매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또 LCBO의 카탈로그에서도 미국산 수입품을 삭제해 소매업체나 식당 등이 주문할 수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LCBO는 온타리오주 내 유일한 주류 도매업체다.
더그 포드 온타리오 주지사는 성명에서 “매년 LCBO는 (온타리오에서) 10억달러(약 1조4700억원) 상당의 미국산 와인, 맥주, 증류주 등을 판다. 이제 더는 아니다”며 소비자들이 온타리오나 캐나다에서 만든 상품을 구매하는데 최적의 시기라고 밝혔다.
인구 2위인 퀘벡 주정부도 산하 공기업이 운영하는 주류 매장들에 4일부터 미국산 제품을 판매하지 말라고 지시했다.
브리티시 컬럼비아(BC)주도 유사한 조치를 취했고 노바 스코티아주와 마니토바주도 이에 동참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장조사업체 OEC에 따르면 작년 10월 기준 미국의 주류 수출국 2위는 캐나다로 수출액은 2590만달러에 달한다.
캐나다 주정부들의 이 같은 조치에 대해 미국 주류협회(DISCUS) 크리스 스웡거 최고경영자(CEO)는 “실망스럽고 생산적이지 않은 보복 공격”이라며 “매장 선반에서 미국 주류를 없애는 것은 불필요하게 그들의 수입을 줄이고 캐나다 소비자와 기업들을 해칠 것”이라고 반발했다.
앞서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1일 밤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미국의 관세에 대응하기 위해 1550억 캐나다달러(약 156조원) 상당의 미국산 제품에 25%의 보복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이 중 300억 캐나다달러 상당의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는 4일부터 적용되고, 나머지 1250억 캐나다달러 상당 제품에 대한 관세는 3주 내에 발효될 예정이다.
트뤼도 총리는 “관세 범위는 광범위할 것”이라며 술, 과일, 채소, 의류, 신발과 같은 일상용품이 포함될 것이며 주지사들이 비관세 조치를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강남·서초구 아파트 평당 9000만원 넘어…10년새 188% 급등
- SK넥실리스, 화재 위험 줄인 전고체 배터리용 집전체 개발 성공
- 올리브영, 이번엔 성공할까…세계 최대 화장품 시장 미국에 재진출
- SPC파스쿠찌 브랜드 새단장…새 BI·인테리어 선보여
- 트럼프, 美 국부펀드 신설 행정명령 서명…”국부펀드가 틱톡 매입할 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