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토·고열·심한 설사를 비롯해 심각할 경우 탈수로 인한 사망까지 유발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증이 영유아를 중심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14일 질병관리청은 2월 2일부터 8일까지 전국 210개 병원급 이상 표본감시 의료기관에서 신고된 그룹 A형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환자가 203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일주일 전 106명보다 2배 수준으로 증가한 것. 이는 최근 7년 내 가장 많은 수준이다.

로타바이러스 감염증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위장관염이다. 감염되면 24∼72시간의 잠복기를 거쳐 구토와 고열, 심한 설사 등의 증상이 4∼6일 이어진다. 대다수는 회복되지만 드물게는 심한 탈수로 사망할 수도 있다.
로타바이러스는 기저귀나 장난감 등에 묻은 오염물로부터 손과 입을 통해 쉽게 전파된다. 때문에 신생아실이나 산후조리원, 어린이집 등에서 영유아들이 동시에 감염되기도 한다.
질병청에 따르면 올해 4주 차 기준으로 로타바이러스에 감염된 전체 환자 중 1세 미만은 9.8%, 1∼6세는 30.9%로 전체의 40.7%가 0∼6세 영유아였다.
65세 이상 노인층 감염자 비중도 18.7%나 차지해 주의가 요구된다.
로타바이러스와 함께 겨울철에 유행하는 대표적인 장관감염증인 노로바이러스 감염도 다시 증가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표본감시 의료기관에서 신고된 노로바이러스 환자 수는 4주 차에 469명까지 치솟았다가 설 연휴가 낀 5주 차엔 347명으로 줄었으나, 6주 차에 다시 437명으로 증가했다. 최근 10년 사이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질병관리청은 노로바이러스와 로타바이러스 모두 장관감염증으로 올바른 손 씻기, 음식물 익혀 먹기, 환자가 사용한 공간이나 물품 소독 등의 예방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로타바이러스의 경우 백신으로 예방이 가능하다. 영아의 경우 국가예방접종으로 무료 접종이 지원된다.
백신 종류에 따라 생후 2, 4개월 2차례 혹은 2, 4, 6개월 총 3차례 접종하면 된다.
한편, 인플루엔자(독감)의 경우 지난주 외래환자 1000명당 의심 환자가 13.9명으로 1월 첫째 주 정점(99.8명) 이후 5주 연속 감소세다.
- 불황 직격탄 맞은 ‘취업’ 시장…정부 ‘일자리사업’ 재개로 버텨
- 코웨이, 해외사업 성장 덕택에 작년 영업익 7954억…전년 대비 9%↑
- 조종사노조연맹 “전국 7개 공항에서 로컬라이저 장애물 즉각 철거하라”…국토부에 요구
- ‘골드바’ 이어 ‘실버바’도 품귀…은행들, 실버바 판매 중단
- 중국 제외 작년 세계 전기차 등록 601만대…BYD 125%↑, 현대ㆍ기아차 3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