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성인의 중간 순자산, 세계 20위
하지만 현실은 노인 10명 중 4명 빈곤층
부동산 중심 자산 구조, 격차 더 키운다

“우리나라가 세계 20위 부자라는데, 나는 하루에 5천 원도 벌기 힘들어요.”
한 노인의 한마디가 한국 사회의 자산 불평등 문제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글로벌 금융사 UBS의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의 성인 1인당 중간 순자산은 약 9만 5872달러(약 1억 2460만 원)로, 전 세계 56개국 중 20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한국의 자산 구조는 심각한 양극화를 보이고 있다.
평균 순자산은 3억 1900만 원으로 중간값보다 두 배 이상 높아, 부유층에 자산이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백만장자 수는 증가하고 있지만, 노인 빈곤율은 여전히 OECD 회원국 중 최악의 수준이다.
고령층의 현실…”폐지 200kg 팔아도 8천 원”

한국의 65세 이상 노인 중 10명 중 4명(38.2%)이 빈곤층으로 분류된다. 이는 지난해보다 증가한 수치다.
특히 은퇴 후 안정적인 소득이 없는 고령층은 생계를 위해 폐지를 줍는 등 열악한 노동환경에 내몰리고 있다.
더욱이 폐지 가격이 계속 하락해, 2022년 1kg당 150원이었던 가격이 올해 초 100원 초반대까지 떨어졌다. 폐지 200kg을 모아도 겨우 8천 원을 손에 쥘 수 있을 정도다.
통계청에 따르면, 50대 가구의 금융자산 중앙값은 8612만 원으로 가장 높지만, 70대가 되면 3510만 원으로 급감한다.

대다수의 자산이 부동산에 묶여 있어 유동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부동산 자산 격차도 점점 심해지고 있다. 상위 20% 가구는 평균 12억 원의 부동산을 보유한 반면, 하위 20% 가구의 부동산 자산은 853만 원에 불과하다.
이처럼 극심한 노후 빈곤의 원인은 국민연금 수급액이 적거나 아예 없는 노인이 많기 때문이다.
한국의 국민연금 제도는 1999년에서야 전 국민을 대상으로 확대 적용됐기 때문에, 현재 76세 이상 노인들은 연금을 받지 못하거나 수급액이 매우 낮은 경우가 많다.
연금·정년 개혁 논의…근본 대책은?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한국은 노후 빈곤을 해소하기 위해 정년 연장과 연금 개혁을 논의 중이다.
국가인권위원회는 법정 정년을 현행 60세에서 65세로 상향 조정할 것을 권고했다.
현재 연금 수급 연령은 2033년까지 65세로 높아지는데, 60세에 퇴직할 경우 5년간 소득 공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연금 개혁 방안 중 하나로 ‘부분연금제’ 도입이 검토되고 있다.

이는 연금 수령액의 일정 비율을 미리 당겨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로, 독일에서 시행 중이다. 이를 통해 소득 공백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소득 공백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지만, 근본적으로 노인 일자리를 확대하고 금융자산 비중을 높이는 방향으로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한 경제 전문가는 “노후 빈곤 문제를 해결하려면 부동산 자산 의존도를 낮추고, 금융자산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정책적 전환이 필요하다”며 “정부 차원의 대책뿐만 아니라 개인도 적극적으로 금융자산을 관리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실시간 인기기사
- 월급 올라서 좋아했는데 “사실은” .. 178조’의 비밀에 서민들 ‘분노’
- 정년 늘린다는데 “지금 나가면 4억?”… 갈림길에 선 5060 ‘어쩌나’
- “천 원이면 내 집 마련?”… 역대급 정책 발표되자 순식간에 ‘신청 폭주’
- “카니발 괜찮을까”.. 한번 충전에 833km 주행가능한 프리미엄 미니밴의 ‘정체’
- 월급 올라서 좋아했는데 “사실은” .. 178조’의 비밀에 서민들 ‘분노’
- “외모가 전부가 아니었네” .. 논란 속 성장한 BMW iX, 평가점수가 ‘무려’
- 정년 늘린다는데 “지금 나가면 4억?”… 갈림길에 선 5060 ‘어쩌나’
- “현대차, 완전히 달라졌다”… 3년 연속 성장, 기대 이상 성적표에 ‘환호’
경제 랭킹 인기글
경제 최신 인기글
-
“피 같은 돈 21조 쪽쪽 빨아먹고도 모자랐나”… 대통령까지 ‘분노 폭발’, 서민들 등골 노린다
-
“대한민국은 역시 부동산의 나라인가” … 주식·코인보다 이곳에, ‘짠희’ 임원희도 선택한 투자처의 정체
-
“절반이 일반인과 결혼?” … 대기업 총수 자녀 최근 10년 변화, 외국인·일반 직장인 배우자 급증
-
“결국 사장이 없어도 돌아가는 회사” … 성공 사업가 DNA 분석, 시스템 구조화·자동화가 장기 성공 비결
-
한국 이겨보겠다더니 “이게 무슨 망신”… 예상 못한 전개에 중국 지도부까지 ‘허둥지둥’
-
“2040년엔 37.8%까지 증가” … 여성 가장 가구 급증, 경제적 현실과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