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에게 다 빼앗겼어요”… 무너진 韓 대표 관광지, 결국 ’50억’ 현금 뿌린다

295
중국 단체 비자 면제에 제주 ‘비상’
무비자 특수 사라지자 긴급 지원책
정부
사진 = 연합뉴스

“이제 제주에 올 이유가 없어요.”

여행사 직원 A씨는 한숨부터 내쉬며 “봄철이면 예약이 몰려서 정신이 없었는데 요즘은 전화조차 없다”고 토로했다.

대한민국 대표 관광지 제주도가 지금 심각한 관광객 이탈 위기에 직면해 있다.

정부가 오는 3분기부터 전담 여행사를 통해 입국하는 중국인 단체관광객에 대해 한시적으로 비자를 면제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이 조치의 목적은 연간 중국 관광객 536만 명을 포함해 총 1850만 명의 방한 관광객을 유치하는 데 있다.

하지만 이 정책으로 유일하게 무비자로 방문이 가능했던 제주도는 경쟁력을 잃었으며, 관광업계에서도 “제주의 독점 무비자 혜택이 사라지면 수도권으로 관광객이 쏠릴 수밖에 없다”며 우려를 쏟아냈다.

줄어드는 발길… 호텔가도 ‘패닉’

정부
사진 = 뉴스1

제주에 불어닥친 위기는 수치로도 확인된다. 제주특별시자치도관광협회에 따르면 올해 3월 1일부터 16일까지 누적 입도객 수는 총 43만 5798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무려 14.3%나 줄었다.

그중 내국인은 15.4%, 외국인은 7.6% 감소한 수치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무려 26.1%가 감소한 것으로, 팬데믹 이후 5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런 상황에서 제주의 고급 호텔들도 손님 붙잡기에 나섰다. 5성급 호텔 객실료를 20만 원대로 대폭 낮추는가 하면, 각종 할인과 프로모션을 내걸고 있다.

정부
사진 = 뉴스1

해비치제주 관계자는 “전년 대비 숙박 단가가 6만~7만 원가량 떨어졌다”며 “코로나 시기 내국인들이 여러 번 제주를 찾은 뒤, 이제는 흥미를 잃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하얏트 호텔은 벚꽃 시즌을 겨냥해 스파 할인, 찜질방 체험 등을 내세우고 있다. K-콘텐츠의 인기에 힘입어 외국인들을 겨냥한 한국형 체험 상품도 함께 추진 중이다.

그러나 호텔업계에선 “숙박요금 인하만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이 어렵다”며 콘텐츠 부재를 문제로 지적하고 있다.

결국 ’50억’ 푼 제주도…하지만 불안은 여전

정부
사진 = 뉴스1

정부 정책에 밀려 관광객을 빼앗길 위기에 처한 제주도는 결국 긴급 대응에 나섰다. 총 50억 원의 예산을 들여 여행 지원 정책인 ‘제주의 선물’을 시행하기로 한 것이다.

우선 제주로 수학여행을 오는 학교에 대해 안전요원 고용 지원금을 기존 60만 원에서 100만 원으로 늘리고, 지원 기준은 20명에서 10명으로 낮췄다.

또 수학여행단은 사전 예약 없이도 하루 최대 200명까지 한라산 탐방이 가능하도록 했다.

자매결연이나 협약을 맺은 단체가 20명 이상일 경우 1인당 3만 원(최대 600만 원), 동창회 등 15인 이상 단체엔 최대 200만 원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현금성 혜택도 포함됐다.

정부
사진 = 연합뉴스

항공편 감축으로 좌석 부족 문제가 생기자, 배편으로 제주를 찾는 여행사나 단체에겐 최대 15만 원을 추가 지급하기로 했다.

여기에 더해 지역 화폐 ‘탐나는전’, 항공권, 숙박권 등을 제공하는 관광객 추첨 이벤트, 반려동물·미식·리마인드 웨딩 등 테마형 여행상품 공모전도 함께 진행 중이다.

김희찬 제주도 관광교류국장은 “현재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겠다”며 “다양한 지원책을 통해 제주 관광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겠다”고 강조했다.

“제주, 콘텐츠 없인 안 된다”는 경고

정부
사진 = 연합뉴스

전문가들은 이번 비자 면제 조치가 제주 관광 전체 판도를 바꾸는 분기점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한 여행업계 관계자는 “중국 단체관광객이 돌아온다고 해도, 쇼핑 중심의 소비 패턴은 옛말”이라며 “이제는 K-컬처와 체험 중심 여행으로 트렌드가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제주가 여전히 매력적인 관광지임은 분명하지만, 단순한 자연 풍경만으로는 더 이상 경쟁력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핵심은 새로운 콘텐츠 개발이다. 단체 관광 위주의 구조에서 벗어나 개별여행, 체험 중심의 상품으로 전환하지 않으면 경쟁력 확보는 어렵다는 지적이다.

정부의 정책 변화 속에서, 제주가 어떤 해법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실시간 인기기사

+1
0
+1
0
+1
0
+1
0
+1
0

경제 랭킹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