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가 아프리카 기아 종식을 위해 현지에서 전개하는 국제협력 사업 ‘K라이스벨트’ 프로젝트가 호평받고 있다.
K라이스벨트는 아프리카에 벼 종자 재배단지를 조성하고 생산한 종자를 현지 농가에 보급, 이를 통해 기아 종식에 기여한다는 취지로 마련된 국제협력 사업이다.
정부는 수확한 벼 종자를 사업 대상국과 협의를 거쳐 현지 농가에 보급하고, 남은 벼는 취약계층 주민에게 제공한다.

27일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은 K라이스벨트 사업을 통해 지난해 아프리카 7개국에서 벼 종자 3562t(톤)을 수확했다고 밝혔다.
사업 첫해인 2023년에는 2321t 규모의 벼 종자를 생산했지만 지난해 생산량은 이보다 53% 증가했다. 또 당초 목표한 3000t보다도 500t 이상 많다.
K-라이스벨트 프로젝트에 참여하길 희망하는 아프리카 국가도 증가하고 있다.
농식품부와 농촌진흥청은 이런 점을 반영해 K-라이스벨트 확장을 위한 신규사업 준비에 한창이다.
시에라리온·코트디부아르·기니비사우 등 3개국을 대상으로 K-종자의 현지 적응성과 농가 반응을 분석하기 위한 시범포 조성 사업도 성공적으로 완료하는 등 현지 타당성 조사를 마쳤다.
농진청 관계자는 ‘통일벼’를 개량한 K-품종의 경우 아프리카에서 재배 관리가 용이하고, 병해충 저항성이 강하며 맛과 향도 현지 품종보다 우수하다고 설명했다.
자카리아워 아흐메드 잘로 시에라리온 농업식량안보부 국장은 “종자 시범포 사업을 통해 K-품종의 우수성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며 “케이(K)-라이스벨트 프로젝트가 본격적으로 추진돼 시에라리온의 식량 문제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했다.
한국 정부는 마다가스카르·말라위·짐바브웨·앙골라 등 아프리카 남부 지역으로 K-라이스벨트 프로젝트를 확산할 계획이다. 지난해 이미 해당 국가들과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교환했다.
또 종자 중심의 동 프로젝트를 쌀 가공 및 유통 산업 지원, 농촌 생활환경 개선 등과 연계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K-라이스벨트 프로젝트가 아프리카 농업 및 농촌 개발을 위한 플랫폼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정혜련 농식품부 국제협력관은 “아프리카 기아를 없애기 위한 K-라이스벨트 프로젝트가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라며 “본 프로젝트의 우수 사례가 주변 아프리카 국가에도 확산돼 식량위기를 해소하고 한국의 국제위상 제고에 기여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현대모비스, 사상 최대 1Q 실적 기록…영업익 7767억원 43%↑
- 전기 먹는 하마 데이터센터…전력 소비 줄이기 위해 LG전자·한전·한화 맞손
- SKT, SK브로드밴드 지분 인수 위해 카카오 지분 전량 매각
- iM증권 “SK하이닉스, 목표가 20만원으로 하향조정”
- [한백영의 생생 디자인] AI는 공정하지 않다: 첨단기술에 숨은 불편한 진실에 대하여
경제 랭킹 인기글
-
“고령자도 일하며, 꿈을 향해 사는 시대”.. 대한민국 신노년 경제활동
-
“결국 사장이 없어도 돌아가는 회사” … 성공 사업가 DNA 분석, 시스템 구조화·자동화가 장기 성공 비결
-
“대한민국은 역시 부동산의 나라인가” … 주식·코인보다 이곳에, ‘짠희’ 임원희도 선택한 투자처의 정체
-
“절반이 일반인과 결혼?” … 대기업 총수 자녀 최근 10년 변화, 외국인·일반 직장인 배우자 급증
-
“2040년엔 37.8%까지 증가” … 여성 가장 가구 급증, 경제적 현실과 미래”
-
“대한민국 역사가 뒤집혔다”… 삼성의 23조 ‘사상 최대 잭팟’에 글로벌 업계 ‘기절초풍’
경제 최신 인기글
-
“피 같은 돈 21조 쪽쪽 빨아먹고도 모자랐나”… 대통령까지 ‘분노 폭발’, 서민들 등골 노린다
-
“대한민국은 역시 부동산의 나라인가” … 주식·코인보다 이곳에, ‘짠희’ 임원희도 선택한 투자처의 정체
-
“절반이 일반인과 결혼?” … 대기업 총수 자녀 최근 10년 변화, 외국인·일반 직장인 배우자 급증
-
“결국 사장이 없어도 돌아가는 회사” … 성공 사업가 DNA 분석, 시스템 구조화·자동화가 장기 성공 비결
-
한국 이겨보겠다더니 “이게 무슨 망신”… 예상 못한 전개에 중국 지도부까지 ‘허둥지둥’
-
“2040년엔 37.8%까지 증가” … 여성 가장 가구 급증, 경제적 현실과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