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빠져나간 부산, 통째로 흔들
‘소멸’ 막기 위한 승부수 던졌다

급격한 인구 유출에 허덕이던 부산이 결국 칼을 빼들었다. 지방 소멸 위기에 놓인 상황에서 청년층을 붙잡기 위한 강도 높은 ‘통합 고용 지원책’을 내놓은 것이다.
산업의 중심지에서 ‘소멸 위험 도시’로 추락한 부산이 이번 지원책을 통해 과연 반전을 이뤄낼 수 있을까.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최근 부산의 급격한 쇠퇴를 짚으며 “젊은이들이 부산을 떠나는 탈출 현상은 수도권 중심 경제 구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1995년 이후 60만 명 가까운 인구가 빠져나갔고, 65세 이상 고령층 비율은 이미 24%에 달한다.
이러한 결과, 지난해에는 한국고용정보원이 부산을 ‘소멸위험단계’에 진입한 도시로 공식 평가하기도 했다.

중앙 집중형 산업 구조도 문제인데, FT는 “한국의 100대 기업 중 본사가 부산에 있는 곳은 단 하나도 없다”며 구조적인 문제를 지적했다.
실제로 올해 1분기에도 부산에서 3천400명 가까운 순유출이 발생했으며, 특히 20대와 30대의 순유출률은 각각 -1.4%, -1.1%로 전체 연령대에서 가장 높았다.
현재 부산에 거주 중인 청년층 가운데서도 20.3%이 부산을 떠나고 싶다고 밝혔고, 이중 75.2%는 수도권으로 이주하고 싶다고 응답했으며, 66.5%는 그 이유가 ‘취업’이라고 대답했다.
일자리, 교육, 미래 등 모든 게 서울에 있다는 판단 때문에 청년들이 부산을 떠나고 있다는 뜻이다.
“살 길은 청년이다”… 부산의 파격 정책

이처럼 청년층 이탈이 심각해지자, 부산시는 해결책으로 ‘부산 청년 취업 성공 풀패키지’ 사업을 제시했다.
이 사업은 청년 고용의 전 과정을 지원하는 통합 패키지로, 부산시와 고용노동청이 손잡고 맞춤형 일자리 매칭부터 고용 유지까지 전방위로 돕는다.
특히 눈에 띄는 점은 금전적 지원인데, 노동청은 참여 기업에 청년 한 명당 최대 720만 원의 인건비를 지원하며, 시는 청년이 1년 이상 중소·중견기업에 재직하면 최대 100만 원의 고용지원금을 지급한다.
이외에도 현장 탐방, 맞춤형 매칭, 사후관리까지 포함된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가동된다.

또한 기업 진단, 고용 환경 개선을 위한 자문까지 함께 진행돼 단순한 취업 알선이 아닌 지속 가능한 고용 환경 조성을 목표로 한다.
참여 자격은 만 39세 이하, 부산에 주민등록이 있는 청년으로, 오는 12월 31일까지 신청이 가능하며 권역별 지정 취업 상담 기관을 통해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이번 지원책은 단순한 구직 지원을 넘어 부산의 미래를 건 승부수로, 부산이 ‘소멸 위기의 도시’가 아닌 ‘기회가 있는 도시’로 탈바꿈할 수 있을지 전국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실시간 인기기사
- 16년 만의 ‘최악의 불황’에 “이런 이유가 있었다니”… 뜻밖의 ‘반전’ 밝혀지자 ‘발칵’
- 해킹 터진 SK “결국 사업 넘긴다”… 파격적인 매각 결단에 업계 ‘발칵’
- “삼성이 이런 것까지?”… ‘140조’ 로또 노리는 한방에 글로벌 업계 ‘발칵’
- 4700억 손실에도 “다시 돌아간다” … 현대차·기아, 심상치 않은 움직임에 ‘들썩’
- 16년 만의 ‘최악의 불황’에 “이런 이유가 있었다니”… 뜻밖의 ‘반전’ 밝혀지자 ‘발칵’
- “한국 고객 없었다면 불가능했죠”, “사랑에 보답합니다” … BMW 한정판 5종 ‘공개’
- 7천만 원대 차가 1천만 원대로 “우려하던 일 벌어졌다” … 현대차 어쩌나
- 해킹 터진 SK “결국 사업 넘긴다”… 파격적인 매각 결단에 업계 ‘발칵’
경제 랭킹 인기글
경제 최신 인기글
-
“피 같은 돈 21조 쪽쪽 빨아먹고도 모자랐나”… 대통령까지 ‘분노 폭발’, 서민들 등골 노린다
-
“대한민국은 역시 부동산의 나라인가” … 주식·코인보다 이곳에, ‘짠희’ 임원희도 선택한 투자처의 정체
-
“절반이 일반인과 결혼?” … 대기업 총수 자녀 최근 10년 변화, 외국인·일반 직장인 배우자 급증
-
“결국 사장이 없어도 돌아가는 회사” … 성공 사업가 DNA 분석, 시스템 구조화·자동화가 장기 성공 비결
-
한국 이겨보겠다더니 “이게 무슨 망신”… 예상 못한 전개에 중국 지도부까지 ‘허둥지둥’
-
“2040년엔 37.8%까지 증가” … 여성 가장 가구 급증, 경제적 현실과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