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줄줄이 사라지자 “하루 종일 버스 타야”… 어르신들 한숨에 ‘마침내’

376
주변 은행 하나 없는 동네 늘어난다
버스 타고 시외 나가야 예금도 가능
7월부터 ‘우체국 은행’ 본격 시행
은행
사진 = 연합뉴스

강원도에 거주하는 박 모 씨(72)는 “동네 은행 사라지고 나서부터는 돈 찾으러 하루가 걸린다”고 토로했다.

인터넷뱅킹은커녕 스마트폰 조작도 어렵다는 박 씨는 이제 단순히 현금을 인출하기 위해 두 번의 환승과 긴 대기 시간을 견뎌야 한다.

은행 영업점이 빠르게 줄어들며 취약계층의 금융 접근성이 위협받는 가운데, 드디어 금융당국이 움직였다.

금융 디지털화의 그림자가 길게 드리우자, 대면 서비스의 공백을 메우기 위한 ‘은행대리업’ 제도 도입이 초읽기에 들어간 것이다.

줄줄이 사라지는 은행… 고령층 불편 늘어나

은행
사진 = 연합뉴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19년 말 6,738개였던 은행 영업점 수는 2023년 10월 기준 5,690개로 줄었다. 4년 만에 1,000개 넘게 사라진 셈이다.

같은 기간 ATM도 3만 6,000여 대에서 2만 7,000여 대로 감소했으며, 특히 수도권 외 지역은 점포와 ATM이 턱없이 부족해, 금융 서비스 접근성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

디지털 환경에 익숙한 청년층은 큰 불편을 느끼지 않지만, 고령자나 장애인 등은 사정이 다르다.

인터넷뱅킹이나 모바일 앱 대신 여전히 창구를 찾아야 하는 이들은 그나마 있던 은행마저 사라지면 ‘금융 고립’ 상태에 놓이게 된다.

금융연구원의 분석에 따르면 서울과 부산은 은행까지 1km도 채 걸리지 않지만, 전남·강원·경북 등은 평균 20km 이상 이동해야 한다.

일부 농촌 지역은 27km를 넘기기도 했다며, 연구원은 “고령화가 심한 지역일수록 은행 접근성이 더 낮다”고 경고했다.

‘우체국 은행’ 시대 열린다

은행
사진 = 연합뉴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금융당국은 새로운 대안을 내놨다. 이르면 오는 7월부터는 전국 2,500여 개 우체국에서 예·적금, 대출, 환거래 등 핵심 은행업무가 가능해진다.

금융위원회는 이를 ‘은행대리업’ 제도라고 명명하고, 우체국뿐 아니라 신용협동조합, 저축은행 등도 일정 요건을 충족할 경우 은행업무를 대리할 수 있도록 문을 열었다.

은행 건전성과 직결되는 대출 심사·승인 업무는 제외되며, 대면 위주로 운영된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은행 점포가 없는 지역에서도 은행대리업자를 통해 예금 가입이나 계좌 이체 등이 가능해질 것”이라며 “소비자들이 다양한 금융상품을 비교하고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아무 은행이나 가세요”… 오프라인 오픈뱅킹

은행
사진 = 연합뉴스

그동안 모바일로만 제공되던 오픈뱅킹 서비스도 변화를 맞이해, 오프라인 영업점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하는 방안이 추진 중이다.

이 제도가 도입되면 반드시 해당 은행을 방문하지 않아도, 가까운 은행을 방문해 여러 은행의 업무를 볼 수 있게 된다. 예컨대, 국민은행에서 우리은행의 업무를 볼 수 있는 셈이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디지털 전환의 속도만큼 금융 포용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며 “이번 방안은 디지털 취약계층과 은행 소외 지역민의 접근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은행 영업점의 수가 줄어드는 흐름은 세계적 추세지만, 문제는 우리나라의 속도가 유독 빠르다는 점이다.

은행
사진 = 연합뉴스

2023년 기준 성인 10만 명당 은행 지점 수는 한국이 12.7개로, 미국(26.6개), 일본(33.7개), EU(15.7개)보다 현저히 낮았다.

점포가 사라진 지역에서는 주민 불편이 계속되고 있으며, 특히 고령층과 농어촌 거주자들은 금융 서비스 이용을 위해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하는 상황이다.

금융 포용을 위한 정책이 현장에서 실질적인 효과를 내도록 점검과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시간 인기기사

+1
0
+1
0
+1
0
+1
0
+1
0

경제 랭킹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