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 면허 대신 따릉이
대중교통에 밀린 자동차의 존재감
문 닫는 면허학원, 생존 위기 직면

운전면허는 더 이상 청년들의 필수품이 아니다. 대중교통만으로도 일상생활이 충분하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면허 취득을 ‘굳이 해야 할까’ 고민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전동킥보드, 전기자전거 같은 개인형 이동수단의 확산과 함께, 교통비를 아껴주는 기후동행카드 등 정책들이 자리 잡으며 면허의 필요성이 자연스레 퇴색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같은 흐름은 운전면허학원들의 줄폐업이라는 현실로 이어졌다.
매년 줄어드는 면허학원, 저출생 직격탄

경찰청에 따르면 2018년 383곳이던 전국 운전면허학원 수는 2023년 344곳으로 줄었다. 매년 평균 6.5곳이 문을 닫고 있는 셈이다. 면허 신규 발급 건수 역시 감소세다. 2023년 기준 87만 5291건으로, 전년도보다 8.4% 줄었다.
그 배경에는 저출생으로 인한 청년층 인구 감소가 있다. 성인으로 전환되는 인구는 2020년 55만여 명에서 2023년 43만여 명으로 급감했다. 특히 청년 인구 유출이 심각한 지방의 학원들은 운영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서울의 한 학원 대표는 “과거에는 수능 직후 면허 따는 게 당연했지만, 지금은 연초에도 학원이 썰렁하다”며 “수요 자체가 줄었다”고 한탄했다.
달라진 청년들 인식, “차 없어도 불편 안 해”

운전면허 취득을 포기하는 배경에는 경제적 부담도 크다. 서울 등 대도시 기준 강습료는 90만 원대에 이르고, 차량 구입과 유지비까지 고려하면 ‘생존비용’ 차원에서 면허를 미루는 경우가 많다.
한 20대는 “기후동행카드 하나로 어디든 갈 수 있는데, 굳이 면허에 돈 쓸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실제로 2023년 10대와 20대의 신규 면허 취득은 2020년 대비 각각 20%, 30% 줄었으며, 신차 등록도 감소세다. 20대의 신차 등록 대수는 2013년 11만 대에서 2023년 8만 대 수준으로 10년 새 22% 이상 줄었다.
교통 인프라 발전·심리적 요인도 작용

GTX 개통, K-패스와 같은 전국 단위 교통망 확장도 면허 취득을 꺼리는 이유다. 이동이 더 편리해진 만큼, 자동차는 더 이상 필요조건이 아닌 것이다.
더불어, 심리적 요인도 있다. 교통사고에 대한 두려움, 사고 관련 영상들이 운전에 대한 거부감을 키운다. 직장인 이 모 씨는 “면허는 있지만, 사고에 대한 걱정 때문에 운전대를 잡지 않는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운전면허학원 업계가 구조조정기를 맞이할 것으로 전망한다. 한 자동차학과 교수는 “지방의 학원은 폐업 시 면허 취득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다”며 “지역별 생존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실시간 인기기사
- “이러다 삼성·SK 전부 무너지겠네”… 中의 섬뜩한 ‘선전포고’에 업계 ‘공포’
- “여보, 여기에 투자 안 했지?” … 1년 사이에 2배, 날개 단 칼날에 개미들 ‘눈물’
- “국민 노후 돈으로 도박하나”… 마이너스인데 ‘더 산다’는 국민연금, 가입자들 ‘불안’
- “이게 패밀리카야, 슈퍼카야?” … 고성능 신형 최초 공개에 ‘기대감 고조’
- “이러다 삼성·SK 전부 무너지겠네”… 中의 섬뜩한 ‘선전포고’에 업계 ‘공포’
- “여보, 여기에 투자 안 했지?” … 1년 사이에 2배, 날개 단 칼날에 개미들 ‘눈물’
- “이게 가능한 숫자?” … 601마력 내뿜는 車 ‘드디어 공개’, 벤츠도 한 수 접는다
- “국민 노후 돈으로 도박하나”… 마이너스인데 ‘더 산다’는 국민연금, 가입자들 ‘불안’
경제 랭킹 인기글
경제 최신 인기글
-
“피 같은 돈 21조 쪽쪽 빨아먹고도 모자랐나”… 대통령까지 ‘분노 폭발’, 서민들 등골 노린다
-
“대한민국은 역시 부동산의 나라인가” … 주식·코인보다 이곳에, ‘짠희’ 임원희도 선택한 투자처의 정체
-
“절반이 일반인과 결혼?” … 대기업 총수 자녀 최근 10년 변화, 외국인·일반 직장인 배우자 급증
-
“결국 사장이 없어도 돌아가는 회사” … 성공 사업가 DNA 분석, 시스템 구조화·자동화가 장기 성공 비결
-
한국 이겨보겠다더니 “이게 무슨 망신”… 예상 못한 전개에 중국 지도부까지 ‘허둥지둥’
-
“2040년엔 37.8%까지 증가” … 여성 가장 가구 급증, 경제적 현실과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