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도 일본도 제쳤다” … 믿기지 않는 현실에 서민들만 ‘바들바들’

184
OECD 기준 한국 식료품 물가 2위
저소득층 식비 부담 47.9%까지 상승
정부, 범부처 물가 안정 대책 추진
공무원
출처 = 연합뉴스

최근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물가를 언급하며 국민들의 물가 체감 현실을 대변했다. OECD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음식료품 물가는 구매력 기준으로 세계 두 번째로 비싼 나라다.

전체 소비자물가가 안정세를 보이는 가운데, 정작 장바구니 물가는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었다.

높은 물가, 체감은 더 높다

공무원
출처 = 연합뉴스

OECD가 2023년 발표한 구매력 평가(PPP) 기준에 따르면, 한국의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가격 수준은 147로, OECD 평균인 100보다 무려 47% 높았다.

38개국 중 한국은 스위스(163)에 이어 2위였다. 미국(94), 일본(126), 영국(89)보다도 높았다.

국민이 자주 사는 품목을 기준으로 한 생활물가지수와 식품 물가지수는 올해 1분기 각각 119.09, 125.04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 더 많이 올랐다.

먹을거리 물가, 서민 지출의 절반 삼켰다

공무원
출처 = 연합뉴스

문제는 이 같은 물가가 서민 가계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고 있다는 점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소득 하위 20% 가구는 한 달 식비로 평균 44만 원을 썼으며, 이는 가처분소득의 47.9%에 달했다. 지난해보다 3.5%포인트 오른 수치다.

저소득층의 식비 비중은 꾸준히 증가해 5년 전보다 41% 늘었다. 반면 고소득층은 오히려 감소해 양극화도 심화됐다. 전문가들은 고물가 여파로 저소득층의 생계 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고 우려한다.

정부, ‘먹거리 물가’ 진화 나섰다

공무원
출처 = 뉴스1

정부는 물가 잡기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이재명 대통령은 TF 회의에서 “국민이 체감하는 고통이 크다”며, 식품업계의 가격 인상 요인을 정조준했다.

기획재정부는 농축수산물, 가공식품, 외식 물가를 중심으로 범부처 대책을 마련 중이며, 정부는 유통 채널 할인 확대, 정부 비축 물량 방출, 할당관세 적용 등 직접적인 수급 조절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동시에 가격 담합 등 불공정행위 단속과 원가 분석 자료 공개도 추진된다. 일부 품목에 대해서는 수입 확대까지 결정됐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물가 압박이 기업에 일정한 심리적 제동장치를 제공한다고 분석한다. 그러나 과거 정부의 반복된 가격 통제가 오히려 시장 왜곡을 초래했던 만큼, 구조적 개선도 병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시간 인기기사

+1
0
+1
0
+1
0
+1
0
+1
0

경제 랭킹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