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도움 없어도 “우리 힘으로 나라 지킨다”… 한화의 통쾌한 한방에 ‘박수갈채’

188
해외 기술 의존했던 무인기 엔진
한화, 국산화 기술 확보 나섰다
자주국방·방산 수출 확대 기대
출산급여
사진 = 연합뉴스

그동안 무인기 엔진 개발은 해외 기술에 의존했지만, 이제는 우리 기술로 대체하는 길이 열렸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국방과학연구소와 손잡고 국내 독자 기술로 1400마력 터보프롭 엔진 개발에 착수했다. 무인기 핵심 기술을 국산화해 자주국방 기반을 다지고, 향후 수출까지 염두에 둔 전략이다.

수입 막힌 핵심 기술… 직접 만든다

출산급여
사진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일, 국방과학연구소 주관의 ‘프로펠러추진 항공엔진 시제개발 및 엔진인증 실증기술’ 과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2028년까지 차세대 중고도 무인기(MUAV)에 들어갈 1400마력급 엔진을 국내 기술로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특히 무인기 엔진은 국제적 수출 규제로 인해 사실상 해외 수입이 어려운 품목이다.

미사일 기술통제체제(MTCR), 국제무기거래규정(ITAR), 미국 수출관리규정(EAR) 등으로 인해 부품조차 들여오기 힘든 상황이다.

한 방산 업계 관계자는 “미국 기술이 일부라도 들어간 제품은 제3국에서 만들어도 규제 대상이 될 수 있어, 사실상 수입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우리 군이 보유한 KUS-FS 무인기의 경우, 시범 운용 중 결빙 문제가 발생했지만, 필요한 부품이 수출 제한 품목이라 대응이 어려웠다.

전투기·민간까지 확장 가능한 기술력

출산급여
사진 = 연합뉴스

한화는 무인기 엔진 개발을 시작으로, 장기적으로는 전투기와 민수용 항공기 엔진까지 기술 적용 범위를 확대할 방침이다.

정부가 추진 중인 공군 차세대 전투기용 1만6000파운드(후기연소 시 2만4000파운드)급 항공엔진 개발도 준비 중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는 “설계부터 제작, 인증, 유지보수까지 항공엔진의 전 주기 기술을 자체 보유하고 있다”며 “이번 무인기 엔진 국산화로 자주국방은 물론 방산 수출 기반도 함께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투기 엔진은 한 대당 약 1,000만 달러에 달하는 고부가가치 제품이다.

정부 추산에 따르면, 국산 항공엔진 개발이 성공할 경우 2050년까지 약 100조 원의 경제적 효과와 16만 명의 고용 창출이 기대된다.

무기 체계 자립의 핵심 과제

출산급여
사진 = 연합뉴스

앞으로 전장 환경에서 유·무인 항공기 무기체계의 역할은 더 커질 전망이다. 외산 엔진에 의존할 경우 기술 제한이나 수출 규제로 인해 전력 운용 자체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

전문가들은 “한국의 항공엔진 기술 수준은 아직 선진국 대비 60~70% 수준”이라면서도,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인재 양성,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되면 기술 격차를 좁힐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또한 “항공엔진 국산화는 단순한 기술 문제가 아니라 국가 전략과 직결되는 사안”이라며, “기술 독립 없이 항공 산업의 미래도 없다”고 강조했다.

한화의 이번 결정은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 국가 안보와 산업 경쟁력을 위한 전략적 대응으로 해석된다.

정부와 민간의 지속적인 투자와 기술 축적이 이어진다면, 항공강국으로 도약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실시간 인기기사

+1
0
+1
0
+1
0
+1
0
+1
0

경제 랭킹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