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국 못한 관광객, 공항서 발길 돌려
K-ETA에 막힌 동남아 관광시장
경제 손실만 2000억 원 넘어

태국에서 한국행 비행기를 예약한 한 관광객이 결국 공항에서 발길을 돌렸다. 입국 요건을 모두 충족했지만, 전자여행허가제(K-ETA)에서 승인을 받지 못했으며, 이유조차 알 수 없었다.
한국을 찾으려던 외국인들이 비슷한 이유로 발이 묶이면서, 관광객 이탈과 함께 수천억 원 규모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무비자지만 사실상 입국 불허…K-ETA의 아이러니

K-ETA는 무비자 입국 대상 국가 국민이 한국에 오기 전 온라인으로 사전 입국 허가를 받아야 하는 제도다.
여권 정보와 방문 목적 등을 제출하고, 수수료 1만 원을 내면 72시간 이내에 승인 여부가 결정된다. 2년간 유효하지만, 거절될 경우 그 이유는 알려주지 않는다.
정부는 2024년 말, 미국·일본·프랑스 등 일부 국가에 대해 K-ETA를 한시 면제했지만 태국·말레이시아·필리핀 등 주요 동남아 국가는 여전히 대상에서 제외돼 있다. 무비자라고는 하지만 사실상 ‘비자 없는 입국 허가제’인 셈이다.
이에 따른 결과는 수치로 확인되고 있다. 2023년 태국인 관광객 수는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늘어난 37만 9442명이었지만, 2024년 들어 14.6% 감소한 데 이어 올해 1~5월까지도 6.1% 줄었다.
2000억 원 넘는 손실…지역경제 직격탄

태국과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관광객의 감소는 관광산업 전반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국가에서 한국을 찾는 관광객이 줄면서 약 1억 7000만 달러, 우리 돈으로 1924억 원의 관광 수입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연관 산업까지 따지면 국내 생산 감소는 3745억 원, 부가가치는 1388억 원 줄어들고, 고용은 2500여 명 이상 줄어드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특히 음식·화장품·패션처럼 관광객 소비에 민감한 업계는 타격이 더욱 컸다는 평가다.
해외는 개방, 한국은 제한…엇갈린 관광 전략

세계 주요 관광국은 개방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일본은 2013년부터 태국·말레이시아에 비자 면제를 적용해 관광객이 급증했고, 대만은 아세안 국가 중심의 비자 완화로 아세안 관광객 비중을 6년 새 세 배 넘게 끌어올렸다.
반면 한국은 여전히 K-ETA를 고수하며 동남아 주요국들을 면제 대상에서 배제하며 관광 유치 경쟁에서 점차 밀리는 모양새다. 태국관광청은 “K-ETA로 인한 혼란이 반복된다면 방한 관광 수요가 더 줄 수밖에 없다”고 우려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는 “청소년 교육 여행 확대, 현지 마케팅 강화 등 다양한 방안을 통해 우호적 분위기를 조성하려 한다”며 “K-컬처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시장 다변화와 부정적 감정 완화를 함께 꾀하고 있다”고 밝혔다.
실시간 인기기사
- 가격 폭등하는데 “이제 안 만듭니다”… 삼성·SK 먹여살리던 반도체 별안간 ‘포기’, 도대체 왜?
- 사상 최대 387만 명 몰려도 “오히려 4.5조 적자”… 한국만 겪는 기이한 현상에 ‘발칵’
- “월급 줄어들어도 놀라지 마세요”… 전 국민 ‘집단 감봉’ 위기에 직장인들 ‘어쩌나’
- 자신만만해 하더니 “결국 들통났다” … 테슬라, 일일 벌금 7800만 원 폭탄에 ‘이를 어쩌나’
- “코나보다 훨씬 세련됐다” … 가격은 그대로, 감성까지 입힌 신형 SUV에 ‘주목’
- 가격 폭등하는데 “이제 안 만듭니다”… 삼성·SK 먹여살리던 반도체 별안간 ‘포기’, 도대체 왜?
- “아이오닉 9보다 훨씬 비싸지만” … 단종 아쉬움 달랜 전기 SUV, 한국 출시는 언제쯤?
- 사상 최대 387만 명 몰려도 “오히려 4.5조 적자”… 한국만 겪는 기이한 현상에 ‘발칵’
경제 랭킹 인기글
경제 최신 인기글
-
“피 같은 돈 21조 쪽쪽 빨아먹고도 모자랐나”… 대통령까지 ‘분노 폭발’, 서민들 등골 노린다
-
“대한민국은 역시 부동산의 나라인가” … 주식·코인보다 이곳에, ‘짠희’ 임원희도 선택한 투자처의 정체
-
“절반이 일반인과 결혼?” … 대기업 총수 자녀 최근 10년 변화, 외국인·일반 직장인 배우자 급증
-
“결국 사장이 없어도 돌아가는 회사” … 성공 사업가 DNA 분석, 시스템 구조화·자동화가 장기 성공 비결
-
한국 이겨보겠다더니 “이게 무슨 망신”… 예상 못한 전개에 중국 지도부까지 ‘허둥지둥’
-
“2040년엔 37.8%까지 증가” … 여성 가장 가구 급증, 경제적 현실과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