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떼돈’ 벌고 있는데 “한국만 문 걸어 잠그네” … 2000억 증발하자 ‘발칵’

238
입국 못한 관광객, 공항서 발길 돌려
K-ETA에 막힌 동남아 관광시장
경제 손실만 2000억 원 넘어
일본
출처 = 연합뉴스

태국에서 한국행 비행기를 예약한 한 관광객이 결국 공항에서 발길을 돌렸다. 입국 요건을 모두 충족했지만, 전자여행허가제(K-ETA)에서 승인을 받지 못했으며, 이유조차 알 수 없었다.

한국을 찾으려던 외국인들이 비슷한 이유로 발이 묶이면서, 관광객 이탈과 함께 수천억 원 규모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무비자지만 사실상 입국 불허…K-ETA의 아이러니

일본
출처 = 연합뉴스

K-ETA는 무비자 입국 대상 국가 국민이 한국에 오기 전 온라인으로 사전 입국 허가를 받아야 하는 제도다.

여권 정보와 방문 목적 등을 제출하고, 수수료 1만 원을 내면 72시간 이내에 승인 여부가 결정된다. 2년간 유효하지만, 거절될 경우 그 이유는 알려주지 않는다.

정부는 2024년 말, 미국·일본·프랑스 등 일부 국가에 대해 K-ETA를 한시 면제했지만 태국·말레이시아·필리핀 등 주요 동남아 국가는 여전히 대상에서 제외돼 있다. 무비자라고는 하지만 사실상 ‘비자 없는 입국 허가제’인 셈이다.

이에 따른 결과는 수치로 확인되고 있다. 2023년 태국인 관광객 수는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늘어난 37만 9442명이었지만, 2024년 들어 14.6% 감소한 데 이어 올해 1~5월까지도 6.1% 줄었다.

2000억 원 넘는 손실…지역경제 직격탄

일본
출처 = 연합뉴스

태국과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관광객의 감소는 관광산업 전반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국가에서 한국을 찾는 관광객이 줄면서 약 1억 7000만 달러, 우리 돈으로 1924억 원의 관광 수입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연관 산업까지 따지면 국내 생산 감소는 3745억 원, 부가가치는 1388억 원 줄어들고, 고용은 2500여 명 이상 줄어드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특히 음식·화장품·패션처럼 관광객 소비에 민감한 업계는 타격이 더욱 컸다는 평가다.

해외는 개방, 한국은 제한…엇갈린 관광 전략

일본
출처 = 연합뉴스

세계 주요 관광국은 개방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일본은 2013년부터 태국·말레이시아에 비자 면제를 적용해 관광객이 급증했고, 대만은 아세안 국가 중심의 비자 완화로 아세안 관광객 비중을 6년 새 세 배 넘게 끌어올렸다.

반면 한국은 여전히 K-ETA를 고수하며 동남아 주요국들을 면제 대상에서 배제하며 관광 유치 경쟁에서 점차 밀리는 모양새다. 태국관광청은 “K-ETA로 인한 혼란이 반복된다면 방한 관광 수요가 더 줄 수밖에 없다”고 우려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는 “청소년 교육 여행 확대, 현지 마케팅 강화 등 다양한 방안을 통해 우호적 분위기를 조성하려 한다”며 “K-컬처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시장 다변화와 부정적 감정 완화를 함께 꾀하고 있다”고 밝혔다.

실시간 인기기사

+1
0
+1
0
+1
0
+1
0
+1
0

경제 랭킹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