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누진제 완화·에너지바우처 확대
“올여름 전기요금 걱정 줄었어요”
취약 계층부터 4인가구까지 혜택 기대

서울에 거주하는 주부 이 모 씨(38)는 요즘 에어컨을 하루 종일 틀고 산다. 어린 자녀 둘과 함께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 냉방이 필수지만, 전기요금 고지서를 받을 때면 걱정이 앞선다고 말했다.
정부가 이 같은 전기요금 부담을 덜기 위해 여름철(7~8월) 전기요금 누진제를 한시적으로 완화하기로 했다.
여기에 저소득층을 위한 에너지바우처 확대와 무상 에어컨 설치 등도 함께 추진돼 전기요금 경감 효과가 기대된다.
예년보다 빠른 폭염… 전력 수요 역대급

올해는 7월 초부터 폭염이 기승을 부리면서 전력 사용량이 크게 늘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 7일 최대 전력 수요는 93.4기가와트(GW)를 기록해, 2022년 같은 시기의 최고치(92.99GW)를 넘어섰다.
이에 정부는 수도권 주요 변전소의 전력 설비를 직접 점검하고 전력 수급 상황을 면밀히 들여다보고 있다.
이호현 산업부 2차관은 “여름철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핵심 설비 점검과 철저한 관리가 중요하다”고 밝혔다.
평균 1만8000원 절감… 누진제 완화 효과

정부와 여당은 15일 국회 간담회를 열고 7~8월 한시적으로 전기요금 누진 구간을 완화하기로 했다.
1단계 구간은 기존 0~200kWh에서 0~300kWh로, 2단계는 201~400kWh에서 301~450kWh로 확대된다. 이를 통해 4인 가구 기준 월 평균 약 1만8120원의 전기요금 인하 효과가 기대된다.
예를 들어, 평소보다 에어컨 사용이 늘어 월 330kWh를 소비한 가정은 기존 기준에서는 6만5780원의 요금을 내야 했지만, 완화 조치 적용 시 5만4830원으로 약 1만 원이 절감된다.
취약 계층 맞춤 지원도 확대

취약 계층을 위한 지원도 강화됐다. 정부는 이달 1일부터 연간 최대 70만1300원의 에너지바우처를 일괄 지급 중이며, 전기요금 감면 한도도 월 최대 2만 원으로 확대했다.
산업부는 바우처 사용법을 몰라 혜택을 받지 못하는 사례가 없도록 사용량 모니터링과 현장 안내를 강화하고 있다.
또한, 저소득 가구와 사회복지시설을 대상으로 에어컨 1만8000대를 조기 설치 완료했으며, 고효율 가전 구입 지원, 소상공인 전기요금 분할 납부 제도도 병행 시행 중이다.
정부는 이 같은 조치를 통해 여름철 전기 사용에 대한 부담을 실질적으로 덜어줄 계획이라고 밝혔다.
폭염이 일상이 된 여름철, 냉방기 사용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다. 이번 대책을 통해 전기요금 부담으로 냉방을 포기해야 했던 가정들이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실시간 인기기사
- 민생회복 지원금 이어 “50만 원을 또”…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지원책 ‘주목’
- 세금 돌려준다더니 “286만 원 토해내라고요?”… 소득세 환급 신청자들 ’41억’ 날벼락 추징
- “내 노후자금 어디 갔나 했더니”… 국민연금, 외부 위탁운용 그림자에 국민들 ‘부글부글’
- “벤츠·BMW도 한방에 제쳤다” … 제네시스 G90, 석유 부국이 공식 의전차로 파격 발탁
- 민생회복 지원금 이어 “50만 원을 또”…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지원책 ‘주목’
- 1500만원도 안 하는데 “이런 사양이 기본이라고?” … 현대차 신형 캐스퍼 스펙 옵션에 ‘깜짝’ 탑재
- 세금 돌려준다더니 “286만 원 토해내라고요?”… 소득세 환급 신청자들 ’41억’ 날벼락 추징
- 중국과 손잡은 현대차 “수소차로 승부 보나” … 5조 7000억 원 거대한 베팅 ‘시동’
경제 랭킹 인기글
경제 최신 인기글
-
“피 같은 돈 21조 쪽쪽 빨아먹고도 모자랐나”… 대통령까지 ‘분노 폭발’, 서민들 등골 노린다
-
“대한민국은 역시 부동산의 나라인가” … 주식·코인보다 이곳에, ‘짠희’ 임원희도 선택한 투자처의 정체
-
“절반이 일반인과 결혼?” … 대기업 총수 자녀 최근 10년 변화, 외국인·일반 직장인 배우자 급증
-
“결국 사장이 없어도 돌아가는 회사” … 성공 사업가 DNA 분석, 시스템 구조화·자동화가 장기 성공 비결
-
한국 이겨보겠다더니 “이게 무슨 망신”… 예상 못한 전개에 중국 지도부까지 ‘허둥지둥’
-
“2040년엔 37.8%까지 증가” … 여성 가장 가구 급증, 경제적 현실과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