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수익 21조, 실적은 ‘최대’
대통령까지 비판하며 시정 요구

올해 상반기 4대 은행이 벌어들인 이자수익만 21조 원을 달성했으며, 순이익도 10조 원을 넘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서민들은 높은 이자 부담을 떠안았고, 중소기업을 위한 금융 지원은 상대적으로 부족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재명 대통령까지 나서 금융권을 향해 자성의 목소리를 내면서, 금융권의 대응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기준금리 내려도 이자수익은 늘었다

올해 상반기 4대 금융의 순이익은 10조3254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5% 증가했다.
금리 인하 기조에도 불구하고 이자이익은 21조92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 늘었다. 특히 KB금융은 6조3687억원의 이자이익을 기록하며 업계 1위를 유지했다.
하나·신한·우리금융도 각각 1~3%대 증가율을 보이며 이자수익 증가세를 유지했다. 금융사들은 예금 비용을 낮추고 운용 효율을 높인 결과라고 설명했다.
비이자이익도 7조2122억원으로, 전년 대비 7.2% 증가했다. 증권 중개, 외환, 퇴직연금 등에서 수익을 다각화한 점이 영향을 미쳤다.
주담대 증가폭, 기업대출의 10배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24일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쉽게 돈 버는 주택담보대출에만 매달리지 말고, 생산적 투자에 힘써야 한다”고 공개적으로 질타했다.
실제로 5대 은행의 올해 주택담보대출은 602조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24조원(4.2%) 증가했다. 반면 중소기업 대출은 같은 기간 0.4% 증가에 그쳤으며, 대기업 대출도 감소세를 보였다.
금융당국은 이런 쏠림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목표를 절반 수준으로 낮추라고 주문했다. 은행으로선 수익 확보가 쉽지 않은 환경이 된 셈이다.
은행 관계자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도 영향을 준 만큼 모든 책임을 은행에 돌리긴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금융소비자들은 여전히 이자부담 증가에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기업 금융 확대 나서지만… 근본 변화는 ‘미지수’

은행권은 비판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금융 강화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KB국민은행은 국가 전략산업 분야 지원을 확대하고, 신한은행은 담보보다 성장 가능성에 주목한 대출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하나은행은 소상공인 대상 특별금융상품을 늘리고, 우리은행은 공급망금융 플랫폼을 활용해 기업 고객 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다. NH농협은행도 지역 기반 기업에 4조5000억원 규모의 금융지원을 약속했다.
다만, 기업대출은 자본규제상 은행에 부담이 크고 수익성이 낮아 적극 확대에는 한계가 있다는 반론도 나온다.
실제 각 금융사는 상반기 호실적 발표와 동시에 자사주 매입과 현금 배당을 결정했다.
KB금융은 주당 920원 배당과 8500억원 규모 자사주 소각 계획을 밝혔다. 신한·하나금융도 자사주를 각각 8000억원, 2000억원 규모로 매입·소각하기로 했다.
‘생산적 금융’ 갈림길… 은행의 진짜 시험은 지금부터

정부와 한국은행은 가계부채를 줄이기 위한 구조적 대응에 나서고 있다. 국정기획위는 한국은행으로부터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낮추는 중장기 전략을 보고받았다.
지난해 말 기준 이 비율은 90%를 웃돌며, 한국은행은 80%를 넘길 경우 경제성장에 제약이 된다고 지적해 왔다.
금융권은 기존의 수익 구조를 재편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대출 포트폴리오를 조정하고 기업 금융을 확대하면서도, 자본 건전성과 주주 요구를 동시에 만족시켜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실적 중심의 금융 모델에서 벗어나 실물경제를 지원하는 구조로의 전환이 가능한지, 은행들의 실질적인 변화가 뒤따를지 주목된다.
실시간 인기기사
- “대한민국은 역시 부동산의 나라인가” … 주식·코인보다 이곳에, ‘짠희’ 임원희도 선택한 투자처의 정체
- “대한민국 유통 황제라 불렸던 기업”.. 1997년 외환위기 시절, 왜 급격히 무너졌을까
- “하나의 논란이 전체를 흔든다” … 개인 커리어 단절 넘어 브랜드 가치 하락·투자 회피로 이어진다
- “연봉 237억 김병현이 선택했던 벤틀리” .. 럭셔리의 끝판왕, ‘억’소리 절로 나는 슈퍼세단의 정체
- “대한민국은 역시 부동산의 나라인가” … 주식·코인보다 이곳에, ‘짠희’ 임원희도 선택한 투자처의 정체
- “대한민국 유통 황제라 불렸던 기업”.. 1997년 외환위기 시절, 왜 급격히 무너졌을까
- “중고차, 지금이 가장 싸다?” … 1500만 원 미만 경차·소형차 시세 상승, 모닝·캐스퍼 2% 이상
- “하나의 논란이 전체를 흔든다” … 개인 커리어 단절 넘어 브랜드 가치 하락·투자 회피로 이어진다
경제 랭킹 인기글
-
“피 같은 돈 21조 쪽쪽 빨아먹고도 모자랐나”… 대통령까지 ‘분노 폭발’, 서민들 등골 노린다
-
“절반이 일반인과 결혼?” … 대기업 총수 자녀 최근 10년 변화, 외국인·일반 직장인 배우자 급증
-
“결국 사장이 없어도 돌아가는 회사” … 성공 사업가 DNA 분석, 시스템 구조화·자동화가 장기 성공 비결
-
“2040년엔 37.8%까지 증가” … 여성 가장 가구 급증, 경제적 현실과 미래”
-
“고령자도 일하며, 꿈을 향해 사는 시대”.. 대한민국 신노년 경제활동
-
“세금 안 올리면 나라 망한다”… 감세 정책 ‘완전히 끝’, 세금 폭탄 쏟아지자 ‘발칵’
경제 최신 인기글
-
“피 같은 돈 21조 쪽쪽 빨아먹고도 모자랐나”… 대통령까지 ‘분노 폭발’, 서민들 등골 노린다
-
“대한민국은 역시 부동산의 나라인가” … 주식·코인보다 이곳에, ‘짠희’ 임원희도 선택한 투자처의 정체
-
“절반이 일반인과 결혼?” … 대기업 총수 자녀 최근 10년 변화, 외국인·일반 직장인 배우자 급증
-
“결국 사장이 없어도 돌아가는 회사” … 성공 사업가 DNA 분석, 시스템 구조화·자동화가 장기 성공 비결
-
한국 이겨보겠다더니 “이게 무슨 망신”… 예상 못한 전개에 중국 지도부까지 ‘허둥지둥’
-
“2040년엔 37.8%까지 증가” … 여성 가장 가구 급증, 경제적 현실과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