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소 2조원 보물” 한국만 빼놓고 중국·일본이 챙긴 자원 개발
한국이 동해 대륙붕 개발에 다시 도전하고 있지만, 정작 주변국인 중국과 일본이 더 빠르게 자원 확보에 나서면서 ‘한국만 뒤처졌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막대한 매장량이 기대되는 지역에서 한국이 제때 개발하지 못하면, 최소 수조 원대 경제적 기회를 잃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 동해 대륙붕 2차 탐사 시추 돌입
한국석유공사는 현재 동해 대륙붕에서 2차 탐사 시추를 추진 중이며, 해외 파트너를 찾는 국제 입찰을 진행하고 있다. 최대 49%까지 지분을 개방해 글로벌 오일 메이저의 심해 개발 경험을 활용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미 1차 탐사에서 기대를 모았던 ‘대왕고래’ 구조는 경제성이 부족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석유공사는 여전히 다른 유망 구조에 가능성을 걸고 있다.

🇨🇳🇯🇵 중국·일본은 이미 자원 확보 가속
중국과 일본은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 앞다투어 자원 개발에 나서고 있다. 일본은 동중국해에서 해저 가스전 사업을 진행 중이고, 중국은 자국의 ‘해양 굴기’를 내세워 심해 자원 개발을 확대하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한국이 탐사에 소극적으로 나서면 결국 동북아 자원 패권 경쟁에서 밀릴 수밖에 없다”고 지적한다. 이번 탐사 결과가 한국의 ‘마지막 기회’라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 정치적 논란에 가로막힌 산유국의 꿈
윤석열 전 대통령은 지난해 ‘산유국의 꿈’을 강조하며 140억 배럴 매장량, 2천조 원 가치라는 청사진을 제시했으나, 1차 탐사 시추 결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이후 민주당은 이를 “대국민 사기극”이라고 비판하며 올해 497억 원 규모의 2차 탐사 예산을 전액 삭감했다. 다만 업계에서는 국제 입찰이 이미 막바지 단계인 만큼 정부가 중단을 결정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본다.

🏛 에너지 정책, 새 정부 시험대
한수원은 올해 신규 원전 부지 공고를 하반기로 미뤘다. 따라서 차기 정부가 원전과 대륙붕 개발 모두에 대한 방향성을 결정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당시 강조했던 ‘합리적인 에너지 믹스’가 실제 정책으로 구현될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이번 원전 부지 선정과 동해 가스전 2차 시추는 그 첫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 핵심 정리
1 한국, 동해 대륙붕 2차 탐사 시추 돌입… 해외 기업과 공동 개발 추진
2 중국·일본은 이미 자원 개발 가속화, 한국만 뒤처진 상황
3 윤석열 전 대통령 ‘산유국의 꿈’ 발표 후 정치권 논란 확산
4 신규 원전 2기와 소형모듈원자로(SMR) 도입, 에너지 전략 다변화 추진
5 차기 정부, 원전·자원 개발 모두에서 ‘현실적 에너지 믹스’ 시험대 직면
- “카카오의 아버지” 회장단 중 처음으로 징역 15년 구형 받은 회장 정체
- “압구정 130평 땅” 몰래 40년 썼다가 벌금으로 쫄딱 망했다는 ‘이곳’
- “4년간 GTX 개통” 미루다가 2400억 벌금 내게 생겼다는 ‘이 지역’
- 미국이 법까지 “통째로 바꿔서라도” 한국에서 꼭 만들고 싶다는 ‘이것’
- 해외에서 “세계 1등” 찍고 신기록 세웠다는 유일한 ‘한국 대기업’ 정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