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연평해전 정보 출연진 북한 기습 공격 실화 결말

387

연평해전

감독
김학순
출연
김무열, 진구, 이현우, 김지훈, 장준학, 주희중, 이완, 김하균, 한이진, 강한샘
개봉
2015.06.24.

2002년 6월 29일 참수리 357호 승조원들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감동 영화「연평해전」 정보 관람평 출연진 줄거리 결말 리뷰입니다.

영화 연평해전 정보

감독:김학순

출연:김무열, 진구, 이현우

장르:드라마

등급:12세 이상 관람가

러닝타임:130분

네이버 평점:9.14

내 평점:8/10

영화 「연평해전」은 2002년 6월 29일, 한국과 터키의 월드컵 3,4위전이 열리던 날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에서 벌어진 제2연평해전을 바탕으로 한 작품이다.

실제 교전을 생생하게 재현한 해상 전투 장면과, 참수리 357호 고속정의 승조원들이 보여준 동료애와 희생이 깊은 울림을 전한다.

영화는 교전 당시 약 30분간 이어진 긴박한 상황을 사실적으로 그려냈으며, 군인이기 이전에 누군가의 아들이자 남편이고, 동료였던 이들의 일상과 가족 관계 또한 조명한다.

전투 장면뿐 아니라 인물들의 인간적인 면모와 전우애가 담겨 있어 감동을 주는 작품이었다.

영화를 보고서야 이런 일이 실제로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참수리 357호가 겪은 상황이 얼마나 참혹했는지 처음으로 실감할 수 있었다. 교전 묘사는 매우 현실적이었으며, 김무열, 진구, 이현우 배우들의 진심 어린 연기도 인상 깊었다. 국뽕이 있는 전쟁 영화가 아닌, 진짜 그날의 이야기처럼 느껴져 더욱 의미 있게 다가왔다.

월드컵 열기로 잊혀졌던 전쟁 속에서, 목숨 걸고 싸운 군인들이 있었다는 사실이 뼈아프게 다가왔다. 등장인물 대부분은 실제 제2연평해전에서 전사하거나 부상당한 실존 인물을 바탕으로 재현되었다.

출연진 정보

윤영하 대위(김무열)

해군 출신 아버지의 자랑스러운 아들이자 참수리 357호 고속정의 정장이다. 해군사관학교 출신의 엘리트이며, 강직하고 책임감 있는 리더다.

한상국 하사(진구)

아내의 든든한 남편이자 참수리 357호의 조타장이다. 묵묵히 포를 지켜낸 사수로서 마지막까지 자리를 지킨다.

박동혁 상병(이현우)

어머니의 하나뿐인 아들이자 참수리 357호의 의무병이다. 따뜻하고 밝은 성격으로 동료들에게 큰 힘이 되었던 인물이다.

긴장감이 감도는 서해 최전방

2002년 여름, 대한민국은 한일 월드컵 4강 진출로 열광에 빠져 있었다. 그런데 서해 최전방 연평도 인근에서는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었다.

참수리 357호 고속정의 승조원들은 평소처럼 해상 경계 근무를 수행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북한 경비정의 이상 움직임이 포착되며 상황은 점점 불안해진다. 정장 윤영하 대위는 위기를 직감하고 경계를 강화하며, 승조원들도 각자의 자리에서 묵묵히 임무를 수행한다.

북한의 기습 공격

그리고 2002년 6월 29일 오전, 북한 경비정이 NLL을 침범하며 기습 공격을 감행한다.

357호 고속정은 예상치 못한 정면 공격에 큰 타격을 입고, 바다 위에서 치열한 교전이 벌어진다.

윤영하 대위는 함정을 버리지 않고 끝까지 지휘하며 병사들을 지키려 하고, 한상국 하사는 중상을 입은 상황에서도 끝까지 포를 사수한다. 박동혁 상병 역시 피투성이가 된 채 구조를 기다리며 마지막까지 버틴다.

결말 정보

참수리 357호는 심각한 피해를 입고 퇴함하며 전투는 종료되지만, 윤영하 대위, 한상국 하사, 박동혁 상병을 포함해 6명의 장병이 전사하고, 다수의 승조원이 부상을 입게 된다.

영화는 전투 이후 유가족들의 슬픔과 국가적 추모 장면으로 이어지며 묵직한 여운을 남긴다. 그들의 마지막 편지와 일기, 가족들과의 대화는 관객들에게 우리가 기억해야 할 이름들을 다시 떠올리게 만든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