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내부자들: 디 오리지널 정보 출연진 결말 권력을 해부한 감독판

285

내부자들: 디 오리지널

감독
우민호
출연
이병헌, 조승우, 백윤식, 이경영, 김홍파, 배성우, 조재윤, 김대명, 조우진, 이엘
개봉
2015.12.31.

정치인, 언론인, 재벌 대한민국 권력의 커넥션을 적나라하게 보여준 영화 「내부자들: 디 오리지널」 정보 출연진 관람평 줄거리 결말 리뷰입니다.

내부자들:디 오리지널 정보

감독:우민호

출연:이병헌, 조승우, 백윤식

장르: 범죄, 드라마

등급:청소년 관람불가

러닝타임:180분

네이버 평점:9.08

내 평점:9/10

영화「내부자들:디 오리지널」은 정치 범죄 스릴러로 감독판까지 합친 누적 관객수가 거의 900만 명이 넘었다. 「내부자들:디 오리지널」은 원작보다 50분가량 늘어난 러닝타임을 통해 등장인물 간의 관계와 권력의 구조를 더욱 깊이 있게 파헤쳤다.

「내부자들: 디 오리지널」을 본다는 건, 대한민국 사회의 이면을 들여다보는 일이다. 실화는 아니지만 현실에 있는 일처럼 보였다. 성 접대, 재벌의 비자금, 언론의 왜곡, 정치의 야합까지.. 우리 모두 알고 있지만 외면해왔던 진실을 영화는 정면으로 응시한다.

칼보다 더 날카로운 필력

가장 무서운 건 총도 칼도 아닌 필력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백윤식이 연기한 이강희는 냉소적이며 교묘하게 대중을 조종한다.

“어차피 대중은 개돼지들이다”는 그의 대사는 현실을 냉소적으로 바라보는 이강희의 상징적 대사로 대중을 경멸하고 조종 대상으로 보는 그의 세계관을 보여준다. 글 한 줄이 칼보다 더 날카로울 수 있다.

50분 늘어난 감독판

감독판은 이강희와 안상구 과거 관계를 더 확장해서 보여준다.

안상구가 어떻게 이강희를 믿게 되었는지, 왜 그런 배신에 분노하는지, 우장훈이 어떤 삶을 살아왔는지가 풍부하게 담긴다.

단순히 정치 드라마가 아닌 인간과 권력의 본질을 묻는 영화다.

미완결된 동명의 웹툰 원작

「내부자들」의 세계관은 윤태호 작가의 동명 웹툰에서 출발했다. 2010년 다음 웹툰에서 연재되었으나, 현실 정치와 사회 구조를 너무 적나라하게 풍자한 탓에 미완결 상태로 중단되었다. 비록 완결은 되지 않았지만, 권력의 추악한 이면을 날카롭게 포착한 이 작품은 이후 우민호 감독의 눈에 띄어 영화화되었고, 윤태호 작가 역시 시나리오 작업에 참여했다.

“웹툰의 이야기를 끝내기 위해선 너무 많은 현실의 벽과 마주해야 했다”는 윤태호 작가님이다.

윤태호 작가는 「미생」「이끼」 등에서도 권력, 조직, 인간 심리에 천착해왔고, 「내부자들」은 그의 문제의식이 가장 적나라하게 드러난 작품 중 하나다.

출연진 정보

안상구(이병헌)

정치깡패 출신 사업가로 이강희에게 배신을 당한 후 권력자들에게 복수를 결심한다.

우장훈(조승우)

실력은 있지만 백 없는 검사로 정의를 위해 안상구와 힘을 합친다.

이강희(백윤식)

보수 신문의 논설주간으로 여론 조작과 언론 권력을 쥐고 있다.

장필우(이경영)

유력 대선 후보로 재벌과 언론의 지원을 받아 정치권력의 정점으로 향한다.

오회장(김홍파)

미래 자동차 회장으로 거대 자본의 대표자다.

조상무(조우진)

오 회장의 해결사로 어둠 속에서 움직인다.

줄거리

정치, 재벌, 언론이 손잡고 한국 사회를 움직이고 있다. 정치깡패 안상구는 유력 대선 후보 장필우, 언론인 이강희, 재벌 오회장과 얽혀 각종 비리를 조력해오다, 비자금 파일을 빌미로 거래를 시도하던 중 손목이 잘리고 배신당한다.

정신병원에 감금된 후 간신히 탈출한 그는 복수를 다짐한다.

한편, 지방으로 좌천된 검사 우장훈은 장필우의 비리를 조사하라는 지시를 받고 움직이기 시작한다. 비자금 조성, 성 접대 등등 권력의 실체에 다가간다.

안상구는 우장훈과 손을 잡고 비자금 파일과 동영상을 통해 괴물 같은 권력 커넥션을 무너뜨릴 계획을 세운다.

결말 정보

우장훈 검사는 시스템 안에서 권력을 무너뜨릴 수 없음을 깨닫고 내부자가 되기로 결심한다. 그는 스스로 권력의 핵으로 잠입해 성접대 동영상을 입수하고, 드디어 이강희, 장필우, 오회장의 유착 관계를 세상에 드러낸다.

이강희는 손목이 잘린 채 감옥에 갇히지만, 마지막까지 “글은 왼손으로도 쓸 수 있다”고 말한다. 그의 말은 곧 권력은 사라지지 않으며, 대중은 쉽게 잊는다는 냉소적 현실을 암시한다.

그래서 정의가 실현된 결말도 아니다. 악인은 몰락하고 부패한 권력은 드러났지만 완전한 승리처럼 보이지 않는다. 시스템은 여전히 살아있기 때문이다. 대중은 금방 잊어버릴 것이고 권력은 형태만 바꿔 다시 작동할 것이라는 절대적 냉소를 보여준 이강희의 마지막 대사였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