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2년 만에…” 알뜰폰 사용자들, 두 팔 벌려 반길 소식 나왔다

74

올 가을부터 소비자들은 더 저렴한 알뜰폰 요금제를 이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23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하 ‘과기부)는 오는 8월부터 알뜰폰 사업자들의 망 사용 비용인 ‘도매대가’ 인하를 추진하고 있다.

알뜰폰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 사진(기사와 관련 없음) / TEAM PRE-LIGHT-shutterstock.com

알뜰폰 업계는 이 같은 소식을 반기고 있다. 정부가 이동통신 3사와의 협상을 통해 도매대가를 인하함으로써 알뜰폰 요금제를 더욱 경쟁력 있게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2022년 12월 도매대가가 인하된 이후 음성 도매대가는 1분당 6.85원, 데이터는 1MB당 1.29원으로 각각 14.6%와 19.8% 인하된 바 있다. 이번 도매대가 인하는 그보다 더 큰 폭으로 인하될 것이 예상되고 있다.

과기부는 알뜰폰의 역할을 강조하며 시장 경쟁을 촉진하기 위해 이번 도매대가 인하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알뜰폰 사업자들이 저렴한 요금제를 유지하면서도 이용자 보호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알뜰폰 가입자는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1585만 명에 달하며, 이는 전체 이동통신 시장의 18.9%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LTE 가입자 비중이 94%로 높고, 5G 가입자 비중은 1.7%에 불과해 수익성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22일 오후 서울의 한 휴대폰 매장 앞으로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 뉴스1

한편 고물가 시대에 2030세대가 통신비를 절감하기 위해 알뜰폰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지난 22일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동안 20대와 30대의 통신비 지출이 각각 29.2%, 32.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알뜰폰의 가장 큰 장점은 무엇보다도 저렴한 요금제다. 대형 통신사에 비해 마케팅 비용과 운영 비용을 절감하고, 기존 통신사의 네트워크를 임대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합리적인 가격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요금제를 통해 데이터 사용량, 통화 시간, 문자 메시지 등을 고려한 맞춤형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또한, 알뜰폰은 무약정 서비스가 가능해 장기 약정 없이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서비스를 변경하거나 해지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한다. 기존 번호를 유지할 수 있는 번호 이동 서비스(MNP)도 제공되어, 번거로움 없이 알뜰폰으로 전환할 수 있다.

알뜰폰 사업자는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주요 통신사들의 네트워크를 빌려 사용하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통신사의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동일한 네트워크 품질을 제공하면서도 저렴한 요금제를 제공하여 소비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다만, 일부 서비스나 고객 지원에서는 대형 통신사에 비해 부족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고자 하는 소비자들 사이에서 알뜰폰의 인기는 지속적으로 상승할 전망이다.

서울 시내에 위치한 알뜰폰 스퀘어 매장. / 뉴스1

스타를 위해 투표하세요! 스타의 이름으로 기부됩니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