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상처 입히는 학생 급증…어쩌다 그런 행동을 하게 됐나 살펴보니

66

자기 몸에 상처를 내는 자해 행위를 하는 학생들이 매년 급증하고 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청소년. / 뉴스1

20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강경숙 조국혁신당 의원실과 교원단체 ‘좋은교사운동’이 전국 16개 시도 교육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자해 관련 학교 위기관리위원회 개최 건수가 총 4762건에 달했다. 이는 전년도 3686건보다 1076건(29%) 증가한 수치다.

올해는 8월 말까지 이미 지난해의 72% 수준인 3442회가 개최됐다. 서울시교육청의 자료가 포함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올해 위기관리위 개최 건수는 6884건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2022년에 비해 187%, 2023년에 비해 45% 급증한 수치다.

위기관리위 개최 건수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기가 3645건으로 가장 많았고, 전북이 1188건, 전남이 1171건, 부산이 1068건으로 뒤를 이었다.

학생들이 자해를 시도하는 이유로는 ‘가정 불우’가 24%, ‘교우 관계’가 21%, ‘성적 고민’이 6%로 나타났다. ‘기타’가 49%로 가장 많아, 자해 사유를 분류하기 어렵거나 한 가지 사유로 정리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음을 보여준다.

위기관리위는 자해나 학대, 학교폭력 등 학생에게 위기 상황이 발생했을 때 지원 방법을 논의하기 위해 개최되는 기구다. 담임이나 상담교사가 제안해 열리며, 교사와 학교 관리자, 상담사, 학부모, 외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학교가 가정 불우 등의 이유로 자해를 시도한 학생에게 지원을 하고 싶어도 보호자 동의가 없으면 제대로 된 검사조차 할 수 없는 상황이다. 교우 관계에서 비롯된 자해의 경우 학교폭력 문제나 교육활동 침해 문제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다.

서울 시내 한 공립 중학교 상담교사는 “자해는 스펙트럼이 다양하다”며 “친구에게 보이기 위해 하는 학생도 있고, 우울함이 심한 경우 자신이 살아있다는 감각을 느끼기 위해 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또 “완벽주의가 심한 학생들도 자기 기준에 미치지 못하니까 자해한다”고 설명했다.

서울 지역 한 장학관은 “학생들의 자해는 오래 전부터 있었지만 코로나19 이후 더 심해졌다”며 “팬데믹 3년을 겪은 후 아이들이 교우 관계 맺기도 어려워하고 마음 건강이 안 좋아져서 더 그런 것 같다”고 추정했다.

강 의원은 “교육당국이 자해, 극단적 선택과 같은 위기행동을 보이는 학생 문제에 대한 정확한 실태 파악에 나서야 한다”며 “정서행동상의 위기행동을 보이는 학생을 위한 학교 안팎의 다층적 지원을 위한 국가 차원의 지원 체계를 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위키사주] 고민해결 오늘의 운세 보러가기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