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생각할 때, 흰머리는 나이가 들며 자연스럽게 나타난다. 처음에는 염색 등의 방법을 써서 흰머리를 감추려고 하지만, 어느 정도 나이가 들면 불가피한 것으로 받아들이곤 한다. 일본 나고야 대학이 내놓은 최근 연구에 따르면, 채소에 함유된 ‘루테올린’이 흰머리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흰머리가 생기는 이유
머리카락의 색상은 ‘멜라닌(melanin)’이라는 색소에 의해 결정된다. 우리나라 사람 중에도 어떤 사람은 칠흑처럼 검은 머리카락을 가지고 있는가 하면, 어떤 사람은 갈색에 가까운 머리색을 가지고 있다. 염색이나 탈색으로 색을 바꾸지 않아도 선천적으로 염색한 듯한 색상을 가진 사람도 있다. 이는 유전적으로 타고난 멜라닌 색소의 양이 다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게다가 유전적 요인도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인 나이보다 일찍 흰머리가 생긴다거나, 중년 정도의 나이에 완전히 흰머리가 되는 경우는 유전적인 요인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런 경우는 머리카락의 두께와 질은 유지되면서 색만 변하기도 하기 때문에 같은 흰머리라도 다르게 느껴질 수 있다.
이런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일반적으로 흰머리는 노화에 수반되는 현상이다. 머리카락 색을 결정하는 멜라닌 색소는 ‘멜라노사이트(melanocytes)’라는 세포가 만든다. 모든 세포가 그렇듯, 멜라노사이트 역시 나이가 들면 기능이 저하되거나 그 수가 줄어든다. 흰머리가 노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여겨지는 기본적인 이유다.
‘검은 털’ 유지해주는 항산화 물질
어떤 사람은 흰머리를 별로 대수롭지 않게 받아들인다. 또 어떤 사람은 흰머리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다. 흰머리가 생기는 것을 예방하거나 늦출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일본 나고야 대학 연구팀은 이 의문을 해소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팀은 항산화 물질로 알려진 세 가지 물질, ‘루테올린(Luteolin)’, ‘헤스페레틴(Hesperetin)’, ‘디오스메틴(Diosmetin)’에 초점을 맞췄다. 모두 식물성 항산화 물질인 폴리페놀 계열의 하위 분류, ‘플라보노이드’ 계열 화합물로 식물에서 자연적으로 발견되는 것들이다.
연구팀은 인간의 모발처럼 검은색 털을 가지고 있으며, 나이가 들면서 털이 흰색으로 변해가게끔 사육된 쥐들을 사용했다. 쥐들을 그룹으로 나눈 다음, 세 가지 항산화 물질을 각각 한 가지씩 투여했다. 그 결과 루테올린을 투여받은 쥐들만 본연의 검은색 털을 유지했으며, 나머지는 회색이나 흰색으로 털이 변하는 모습을 확인했다.
보다 정확한 연구를 위해 항산화 물질의 투여는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했다. 주사를 통해 외부에서 투여하는 방법과 음식을 통해 섭취하는 방법이다. 루테올린은 두 가지 방법 모두 검은색 털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흰머리 방지 루테올린, 피망에 풍부
연구팀은 항산화 물질에 흰머리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을 것임을 예상했지만, 루테올린만 뚜렷한 효과를 보였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그 원인을 분석한 결과, 세포 간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단백질 ‘엔도텔린’에 루테올린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했다.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멜라노사이트에 지속적으로 신호를 보내도록 함으로써 세포 활동 감소를 예방한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을 이끈 나고야 대학 마사시 카토 교수는 “루테올린은 모발의 성장이나 탈락보다는 ‘색소 보존’에 주된 영향을 미친다”라고 설명했다. 모발 자체의 건강을 유지하거나 탈모 예방에는 뚜렷한 효과가 없지만, 흰머리를 방지하는 데는 잠재적 효과가 있을 거라는 의미다.
쥐의 털 색깔 변화를 통해 확인한 이 결과가 인간에게도 동일하게 나타날지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다만, 연구팀은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연구팀은 이번 결과를 토대로 루테올린이 노화에 수반되는 다른 현상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연구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루테올린은 셀러리, 파슬리, 피망 등의 채소에 풍부하게 함유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카모마일 차와 녹차를 통해서도 섭취할 수 있으며, 사과 껍질과 귤 껍질, 올리브 열매와 올리브 오일에도 루테올린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 녹내장 발생 위험, 55세 이상 HDL 수치 높으면 위험하다?
- 운동의 심리적 이점, 긴장 완화부터 뇌 발달까지
- ‘빈 칼로리’ 주의, 무엇을 피해야 할까
- 암 세포 내부의 ‘트로이 목마’, 암 치료 패러다임 전환 기대
- 오메가 3, 하루 1g 섭취하면 ‘저속노화’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