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필품부터 교통비까지 줄줄이 인상
생활비 부담에 중산층 소비 위축
![열심히 일해도 월급](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225/image-e054b976-e9c0-4378-a684-33dc762f6063.jpeg)
“숨만 쉬어도 돈이 나가요.”
한 사회초년생의 하소연은 오늘날 중산층 가계의 현실을 보여준다.
생활물가가 전방위로 치솟으면서 생필품은 물론 외식, 교육비, 교통비 등 모든 생활비 항목에서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물가는 오르는데 경기는 침체하고 임금은 제자리를 맴돌며 가계는 점점 더 쪼들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른바 ‘스크루플레이션’이라는 신조어로 현재의 경제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열심히 일해도 월급](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225/image-c6288f6e-304d-4eb4-a2bd-558c11bc9b75.jpeg)
최근 조사에 따르면,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에서 판매되는 464개 품목 중 절반이 지난해보다 비싸졌다.
세제, 샴푸, 티슈 같은 반복 구매가 많은 생필품 56개 품목의 가격이 상승했고, 신선식품의 오름세도 가파르다.
대표적으로 무 도매가격은 1년 새 163% 폭등해 ㎏당 1316원을 기록했다. 배추와 계란 등 주요 식재료 가격도 각각 46%, 17% 상승했다.
외식비도 예외는 아니다. 빕스 샐러드바는 올해 들어 1800원을 올렸고, 커피 전문점의 커피 가격도 국제 원두 가격 상승으로 10% 이상 인상되었다.
![열심히 일해도 월급](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225/image-fb01a83e-e1b3-4bae-96d6-691a47136f27.jpeg)
식품업계 관계자는 “원자재와 환율 상승으로 도미노식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고추장, 간장, 카놀라유 등의 인상은 음식점 가격에도 압력을 가하고 있다.
문제는 물가 상승을 감당할 만큼 소득이 늘어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사회초년생 A씨는 “월급은 그대로인데 물가는 계속 올라 생활비 줄이기에 급급하다”고 토로했다.
![열심히 일해도 월급](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225/image-c654f64f-59f7-409b-aada-46a2150ef0fb.jpeg)
서울 지역 아파트 관리비는 지난해 ㎡당 평균 3242원으로 전년 대비 5% 상승했다.
지하철 요금도 다음 달부터 1400원에서 1550원으로 인상될 예정이며, 수도요금 역시 추가 인상이 예고돼 있다.
약값도 오르고 있다. 소화제, 감기약 등은 지난해 물가 상승률을 크게 웃도는 인상률을 기록했고, 일부 한방약의 가격은 원재료값 급등으로 10% 이상 상승했다.
대책 내놓은 정부, 실효성은?
![열심히 일해도 월급](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225/image-e72d6aa7-37d8-41f6-a6d0-44711478ef4b.jpeg)
정부는 물가 안정을 위해 주요 식품기업들과 간담회를 열고 가격 인상 자제를 요청했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물가 안정은 민생 안정을 위해 필수적”이라며 “생산성 향상을 통해 가격 인상 요인을 최소화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주요 수입 원재료에 대한 할당관세를 확대하고, 농식품 환변동 보험 지원 범위를 늘리는 등의 대책을 내놨다.
하지만 이러한 조치가 실질적인 가격 안정으로 이어질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많다.
![열심히 일해도 월급](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225/image-4fb1a073-351f-4aab-9852-f715c25b09c7.jpeg)
식품업계는 정부의 요청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가격 인상은 소비자들에게 부담이 되지만, 기업 역시 원자재 값과 인건비 부담을 감당하기 어렵다”며 “정부가 수출기업 지원과 같은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생활비 상승은 저소득층과 중산층에 더 큰 타격을 준다.
![열심히 일해도 월급](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225/image-02887e4c-a1f3-4060-a596-453c7c606e74.jpeg)
실제로 소비를 줄이며 생활을 이어가야 하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는 내수 경기에도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전문가들은 물가 안정 대책이 단순한 요청에 그칠 것이 아니라, 실질적이고 장기적인 해결 방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생활비 부담이 가중되는 가운데, 서민과 중산층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책이 시급해 보인다.
실시간 인기기사
- “우리 딸 결혼 어쩌나”… 속 터지는 부모들, 결국 정부까지 움직였다
- “테슬라와 맞대결?” … 위기 맞은 현대車, 드디어 칼 뽑았다
- 30조 쏟아부었는데… ‘압도적 1위’ 삼성이 무너졌다? 도대체 ‘무슨 일이’
- “이게 정말 전기차?”… 1회 충전 700km, 슈퍼카 뺨치는 성능에 ‘깜짝’
- “유언 남겨라” … 시한부 선고 받은 고명환의 ‘반전’ 인생사
- “우리 딸 결혼 어쩌나”… 속 터지는 부모들, 결국 정부까지 움직였다
- 제 2의 테슬라 “쫄딱 망했네” .. 기대감 가득했던 자동차, 실체 드러내자 ‘파산’
- “테슬라와 맞대결?” … 위기 맞은 현대車, 드디어 칼 뽑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