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fapjunk.com

“한국에서는 답이 없다” … 심상치 않은 움직임, 정부까지 나섰지만 ‘과연’

국내 시장을 포기하는 기업들, 해외로 쏠리는 공장
내수 침체·인구 감소에 해외로 눈 돌린 기업들
한국
사진 = 연합뉴스

국내 내수 시장이 한계에 부딪히면서 대기업들이 앞다퉈 해외로 떠나고 있다.

수많은 기업들이 국내 생산시설을 포기하고 해외로 눈을 돌리는 가운데, 정부는 대책 마련에 나섰지만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다.

국내 대표 식품업체인 CJ제일제당은 헝가리에 1000억 원을 들여 ‘비비고’ 만두 공장을 설립 중이다.

삼양식품은 중국 저장성에 첫 해외 공장을 세우기로 했고, 오뚜기와 SPC도 각각 미국 캘리포니아와 텍사스에 공장을 짓는다.

한국콜마, 코스맥스 등 국내 주요 화장품 제조업체들도 미국·중국 공장 증설에 나섰다. 한 업계 관계자는 “국내 시장은 인구 감소로 점점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기업들의 해외 이전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내수 침체·비용 증가… 해외 진출 불가피

한국
사진 = 연합뉴스

기업들이 국내를 떠나는 가장 큰 이유는 내수 시장 침체다. 지난해 국내 대표적 소비 지표인 소매판매액은 2.2% 감소했다. 이는 2003년 카드대란 이후 21년 만에 최대 감소폭이다.

올해 전망도 어둡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식품산업 경기전망지수는 98.5로 전 분기(102.6)보다 크게 하락했다. 지수가 100 미만이면 경기 악화를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다는 뜻이다.

기업들이 생산거점을 해외로 옮기는 또 다른 이유는 비용 문제다. 원재료값과 인건비 상승으로 가격을 올려야 하지만 정부·정치권의 가격 통제로 쉽지 않다.

이에 비해 해외에서는 현지 생산을 통해 물류비 절감, 원가 절감 등의 이점을 누릴 수 있다.

한국
사진 = 연합뉴스

오리온은 2006년 베트남에 공장을 세운 이후 현지 시장에 안착했다. 지난해 베트남 법인 매출은 5145억 원, 영업이익은 1001억 원으로 한국과 중국에 이어 3대 핵심 시장으로 자리 잡았다.

CJ제일제당도 미국 사우스다코타에 7000억 원을 투자해 북미 최대 아시안 식품 공장을 건설 중이다. 2027년 가동을 시작하면, 미국 냉동만두 시장 1위인 ‘비비고’의 입지가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유통업계도 국내 시장 부진을 벗어나기 위해 해외 진출을 확대하고 있다.

롯데백화점은 ‘타임빌라스’ 브랜드를 앞세워 베트남 등 동남아 시장을 공략하고 있으며, 신세계 이마트는 몽골·라오스 등 신흥 시장에 대형마트를 출점 중이다.

한국
사진 = 연합뉴스

GS25는 현재 베트남에서 355개, 몽골에서 267개 점포를 운영하며, 올해 중 각각 500개 이상으로 늘릴 계획이다.

CU도 몽골과 말레이시아, 카자흐스탄에서 공격적인 확장에 나섰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조사한 2025년 유통산업 전망에 따르면, 백화점(0.3%), 대형마트(0.9%) 등 국내 주요 유통 채널의 성장률은 1%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해외 시장은 높은 성장 가능성을 보이며 유통 대기업들의 새로운 활로가 되고 있다.

식품·유통 대기업 떠나면 국내 경제 타격 불가피

한국
사진 = 연합뉴스

대기업들의 해외 이전이 가속화되면서 국내 산업의 기반이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생산시설 해외 이전이 원재료 조달, 가공, 유통 등 관련 산업 전반을 위축시키고, 일자리 감소와 지역 경제 침체를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정부는 기업들의 국내 투자를 유도하기 위한 인센티브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한국은행도 최근 내수 회복을 위해 기준금리를 인하했지만, 업계에서는 이것만으로는 기업들의 해외 이전을 막기에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
사진 = 연합뉴스

여기에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으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기업들도 선뜻 투자를 결정하지 못하는 분위기다.

보호무역 강화와 대중(對中) 견제 정책이 예상되는 가운데, 한국 기업들의 수출 환경도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이에 대응해 예산을 조기 집행하며 내수 회복에 주력할 방침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단기 부양책만으로는 기업들의 해외 이전 흐름을 되돌리기 어렵다며, 장기적인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대기업들의 해외 진출이 한국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그리고 정부가 이를 어떻게 막아낼지 귀추가 주목된다.

실시간 인기기사

이 기사에 대해 공감해주세요!
+1
0
+1
0
+1
0
+1
0
+1
0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