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S] 허리디스크 치료에 반드시 수술해야 할까

343

허리디스크 환자의 70~80%는 수술하지 않고 비수술적 치료로도 상태를 호전시킬 수 있다. 사진은 기사의 직접적인 내용과 관련이 없음. /사진=이미지투데이

허리디스크(요추 추간판탈출증)는 대체로 중장년층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젊은 층에서 허리디스크 질환을 호소하는 환자가 늘고 있다. 특히 오랜 시간 책상에 앉아서 또는 온종일 서서, 허리를 자주 사용하며 일하는 사람에게 많이 나타난다.

척추와 척추 사이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디스크(추간판)가 있다. 디스크 질환은 추간판의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있는 섬유륜에 균열이 생기고 추간판 내부의 수핵이 척추의 경계를 넘어 탈출할 때 발생한다.

나이가 들수록 추간판 섬유륜이 약화돼 디스크 질환이 나타날 수 있지만 유전적 소인이나 습관, 외상 등도 디스크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젊은 층에서는 외상이나 사고 등으로 디스크가 파열되는 급성디스크질환이 많다.

허리디스크 증상은 엉덩이부터 다리까지 이어지는 좌골신경통이나 다리 저림, 찌릿하게 다리로 뻗치는 방사통(질환이 발생한 부분에서 나타난 통증이 주변의 다른 부위로 퍼지거나 전달되는 것) 등이 있다. 허리가 아프고 다리에 힘이 없는 것처럼 느낄 수도 있다.

허리디스크 치료법은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가 있다. 흔히 허리디스크 치료법으로 수술을 먼저 떠올리는데 환자의 70~80%는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발병 후 4~6주가 경과하면 수술을 받지 않아도 될 정도로 증세가 호전된다. 비수술적 치료는 소염진통제와 근육이완제 등 약물치료와 물리치료, 스테로이드 약물을 디스크 탈출 부위에 주사하는 주사요법 등이 있다.

김범준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발병 후 4~6주가 지나도 통증이 심한 환자는 수술을 고려해야 하는데 발 처짐과 같은 운동신경 마비, 대소변을 보는 힘이 약해지는 배뇨장애 등의 증세가 있다면 조기에 수술적 치료를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허리디스크를 예방하려면 올바른 생활습관이 중요하다.

바닥에 양반다리 자세로 오래 앉아있거나 구부정하게 앉는 것은 허리에 큰 부담을 준다. 허리를 숙여 무거운 물건을 드는 동작도 좋지 않다. 무거운 물건을 들 때는 무릎을 구부려서 다리 힘을 사용해 드는 게 좋다. 누워서 쉴 때는 무릎 밑에 베개를 받치면 허리를 편하게 할 수 있다. 가급적 바닥 생활을 피하고 의자에 바르게 앉는 것이 좋다.

운동도 허리디스크 질환 예방을 위해 권장된다. 하체를 바닥이나 운동기구에 고정하고 상체를 뒤로 들어 올리는 신전운동이 허리 근육을 강화할 수 있다. 복근 운동도 도움은 되는데 윗몸일으키기와 같이 허리의 반동을 많이 사용하는 것은 허리에 무리를 줄 수 있어 무릎을 굽힌 채 상체를 들어 올리는 방식으로 해야 한다.

김 교수는 “잘 발달된 허리근육은 허리 관절의 부담을 줄여 디스크 예방에 도움이 된다”며 “다만 급성 통증이 있을 때 무리한 운동은 삼가고 평소 통증이 없을 때 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1
1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