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식 축의금 기준 정리해 드림, 3만원 5만원 7만원 10만원?

7495

사랑의 결실을 알리는 결혼식! 결혼식에 참여할 때마다 축의금은 얼마를 해야 할지 고민해 보신 적 있으시죠? 친한 친구, 지인, 직장 동료, 친척 등 여러 관계를 생각하고 주기도 하고, 결혼식에 참석하면 밥값까지 더해서 더 주기도 하는데요.

사실 딱히 정해진 금액이 없어서 줄 때 고민이 많이 되긴 합니다. 홀라처럼 이런 분들을 위해서 최근 기준으로 생각해 본 축의금 기준을 공유할게요. 결혼식 가기 전에 한 번쯤 읽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너무 당연한 이야기지만, 결혼식 축의금 기준은 개인의 사정이나 환경, 그리고 상황 또는 사람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밖에 없으니 그저 참고로만 봐주세요.

              
     

결혼식 축의금 기준
– 3만 원, 5만 원, 10만 원?

가족, 친척 결혼식 축의금

1. 가족이 결혼할 때에는

① 50만 원 이상 축의금을 하는 경우
② 선물을 건네거나 혹은 축의금을 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요. 이 부분은 금전적인 여유,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2. 친척의 경우에는 친하며 교류가 지속적으로 있었던 경우라면

① 축의금 전달 시 10~50만 원 정도의 축의금을 할 수 있습니다.
② 집안 문화에 따라 집안 어른들끼리 주고받는 경우도 있어요.
어른들끼리만 축의금을 건네는 경우라면 별도로 하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특히 나이가 어린 사회 초년생의 경우에는 더더욱.
③ 교류가 많이 없는 경우에는 보통 10만 원 정도 축의금을 전달한다고 해요.

가족과 친척 축의금은 특히나 각 집안의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참고만 해주시고 축의를 하기 전에 부모님께 여쭤보시기 바랍니다.

   
        
   
   

친한 친구, 친한 지인 결혼식 축의금

오래 알고 지내고 연락과 만남을 꾸준히 하는 절친과 지인을 (꾸준한 연락과 만남, 개인의 친밀도 등이 기준이 될 수 있겠죠?) 기준으로 10만 원 또는 30만 원의 축의금을 생각할 수 있어요. 정말 친한 경우에는 30만 원 이상을 할 경우도 있지만, 나중에 주고받을 때 서로 부담되지 않는 선에서 축의금을 전달하는 게 좋습니다.

받을 금액을 생각해서가 아니라 내가 꼭 주고 싶어서 그렇다면 얼마를 해도 상관없겠지만, 경조사의 경우 대부분 서로 주고받을 것을 생각해야 하니 너무 큰 금액은 오히려 상대방에게도 부담스러울 수 있어요.

하지만 취업 전 금전적인 여유가 없을 때에는 5만 원도 괜찮습니다. 진심 어린 축하 한마디를 건네는 게 중요하지 않을까요?

   
        
   
   

사진 출처: 무한도전
사진 출처: 무한도전

직장동료, 적당히 친분 있는 지인 축의금

한 번씩 꾸준히 연락하는 지인. 또는 회사 생활을 하며 매일 같이 보게 되는 직장동료에게는 5~10만 원 정도 전달드리면 그야말로 충분합니다! 직장동료 중에서도 친한 동료와 단순히 얼굴만 아는 직장동료도 있을 텐데요. 

얼굴은 알지만 따로 만나거나 이야기를 나누지 않는 경우라면 함께 일하는 것을 감안하여 결혼식에 참석하지 않고 축하 인사와 함께 3만 원 정도의 축의금을 전달해도 좋을 것 같아요.

하지만 서로의 관계는 본인이 가장 잘 아는 법. 가벼운 인사 정도만 나누는 사이거나 축의 하는 것 자체를 고민하게 되는 정도라면 축하 인사만 건네도 됩니다.

   
        
   
   

오랜만에 연락한 친구, 지인 등 축의금

예전에는 친하게 지내며 자주 만나고 연락했던 사이였으나, 시간이 흘러 결혼식에 초대한 친구, 지인의 결혼식 방문 시 5만 원-10만 원방문하지 않을 시엔 보통 5만 원 정도와 결혼식 축하 인사를 전달하는 정도가 많습니다.

또 의외로 7만 원으로 전달해 주시는 분들도 많다고 하니, 만약 5만 원과 10만 원 사이에서 고민되신다면 7만 원도 괜찮을 것 같네요.

각자의 상황과 생각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7만 원은 너무 생소하지 않나? 싶어도 하고 싶다면 크게 고민하지 않아도 됩니다. 축하를 받는 사람 입장에서는 무엇이든 나를 생각해 준다는 것은 고마운 일이거든요.

   
        
   
   

사진 출처: 유튜브 채널 뚠뚠 '합동 생파는 핑계고' 캡처
사진 출처: 유튜브 채널 뚠뚠 ‘합동 생파는 핑계고’ 캡처

평소 친분이 거의 없는 친구, 지인 축의금

아는 사이긴 하지만 몇 년 만에 모바일 청첩장으로 결혼식으로 연락 온 경우… 사실 제일 난감한 케이스입니다. 보통 친하다면 5만 원 또는 10만 원 정도를 하지만, 크게 친분이 없는 이 경우에는 결혼식에 가지 않고 축의금 없이 축하 인사 정도만 전달해도 충분합니다.

만약 그럼에도 불구하고 축의금을 주고 싶을 때는 3만 원 정도도 큰 성의 표시죠. 요즘엔 업체에서 문자를 대행으로 보내주는 경우도 있고, 전체 문자로 보내는 경우도 있으니 금액보다는 서로의 소식을 주고받는 것에 의미가 있습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결혼식 이후에는 다시 또 연락하지 않을 것 같은 사이인데 너무 고민된다 싶으면 무리해서 축의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너무 고민하지 마세요!

   
   
   

※ 번외: 재미로 보는 이야기, 축의금과 증여세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1인 가구 매거진 홀라
콘텐츠 제휴 문의
me_travel@naver.com

     

생활 꿀팁 대방출

               

Copyright 2023. 1인가구 매거진 홀라 (holaa-me_travle) all rights reserved.
 

+1
0
+1
0
+1
0
+1
0
+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