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S] 가슴이 ‘쿵쾅쿵쾅’… 설마 부정맥인가요

675

가슴이 두근거리면서 어지럼증, 호흡곤란, 실신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부정맥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사진=이미지투데이

심장질환 중의 하나로 최근 5년간 가장 빠르게 환자가 늘고 있는 질환이 부정맥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국내 심장질환 환자 수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19.9% 증가했다. 이 중 부정맥 환자 수는 지난해 46만3538명으로 2018년보다 약 25% 늘어 심장질환 환자 증가 속도를 앞질렀다.

부정맥은 규칙적인 수축과 이완을 반복함으로써 혈액을 공급하는 심장을 자극하기 위한 전기 자극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면서 비정상적으로 심장박동이 빨라지거나 늦어지는 등의 증상을 보이는 질환이다.

맥박수가 비정상적으로 빨라지면서 심장박동을 느끼고 가슴 두근거림을 호소할 수 있다. 어지럼증, 흉부 불편감, 호흡곤란 등이 나타날 수도 있다. 맥박이 불규칙하다면 맥이 건너뛰는 증상이나 덜컹거림을 느낄 수 있으며 맥박이 지나치게 느리면 어지럼증, 호흡곤란, 실신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다. 무수축, 심실빈맥, 심실세동과 같은 악성 부정맥이 발생하면 순간적으로 심장 기능이 완전히 정지해 사망할 수도 있다.

다만 가슴이 두근거린다고 해서 부정맥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심재민 고려대안암병원 순환기내과 교수는 “운동 직후나 흥분된 상태에서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은 정상이다”며 “심전도 검사를 통해 부정맥을 진단할 수 있는데 가슴 두근거림뿐만 아니라 호흡곤란, 어지럼증, 실신 등이 동반되는 경우 더 심각한 질환일 가능성도 있어 빨리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부정맥은 선전척으로 비정상적인 전기 전도 조직을 갖고 있거나 후천적으로 심장 전기 전도 시스템이 손상당했을 때 생긴다. 가령 관상동맥이 막힌 심근경색증이 발생하면 심장근육세포와 전기 전도 조직이 손상돼 부정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밖에 노화, 고혈압, 당뇨, 허혈성 심장질환, 판막성 심장질환, 심부전, 비만, 수면 무호흡증, 흡연, 음주, 갑상선 항진증 등이 대표적인 부정맥 위험인자로 꼽힌다.

커피 등에 함유된 카페인은 부정맥 위험을 높이지는 않지만 심장을 자극해 심박수와 심근수축력을 높여 가슴 두근거림 증상을 유발할 수 있어 부정맥 증상이 나타난 경우 섭취를 줄이는 것이 좋다.

부정맥 치료는 약물치료가 우선적으로 이뤄진다. 이후 전기생리학 검사와 전극도자절제술이 실시된다. 국소마취만 하고 전기가 통하는 가는 관을 다리 혈관부터 심장까지 밀어넣은 뒤 심장 내 여러 부위에서 전기신호의 발생 및 전도 기능을 확인한다.

부정맥 원인 부위를 찾아 고주파 열로 치료할 수도 있다. 심실빈맥, 심실세동 등의 악성 부정맥이 발생하면 사망할 수도 있어 이를 자동 감지해 전기충격을 내보내는 제세동기를 삽입하는 시술을 할 수도 있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