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국내 최초 ICT 노벨상 ‘IEEE 마일스톤’ 선정

22

1996년 CDMA 대규모 상용화 공헌

IEEE 25년 이상 경과한 업적 심사

SKT 2016년부터 등재 위해 노력

SK텔레콤 본사 사옥 외벽에 설치된 ‘IEEE 마일스톤’ 현판. ⓒSK텔레콤

SK텔레콤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삼성전자, LG전자와 함께 한 1996년 CDMA(코드분할다중접속) 대규모 상용화가 국제전기전자공학협회(IEEE)가 선정하는 ‘IEEE 마일스톤(Milestone)’에 등재됐다고 10일 밝혔다.

IEEE는 1884년 토머스 에디슨과 그레이엄 벨 주도로 창설된 전기·전자공학분야 세계 최대 학회로, 1983년부터 인류 사회와 산업 발전에 공헌한 역사적 업적에 시상하는 ‘IEEE 마일스톤’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IEEE 마일스톤은 ‘글로벌 ICT(정보통신기술) 분야의 노벨상’으로 불리며, 그동안 북미·유럽·일본과 같은 기술 강국이 90% 이상을 차지해 왔다.

이 가운데 SK텔레콤은 CDMA 사례로 국내 기업 최초로 선정 기업 반열에 오르는 영예를 안았다.

앞서 IEEE 마일스톤에 선정된 업적들로는 벤자민 프랭클린의 1751년 전기 연구를 시작으로 볼타의 전기 배터리 발명(1799년), 마르코니의 무선 전신 실험(1895년), 최초의 무선 라디오 방송(1906년), 최초의 텔레비전 공개 시연(1926년), 최초의 반도체 집적회로(1958년), 컴퓨터 그래픽 기술(1965~1978년), 최초의 인터넷 전송(1969년), QR코드 기술 개발(1994년) 등 역사에 족적을 남긴 과학기술들이 망라돼 있다.

SK텔레콤은 25년 이상 경과한 업적을 심사하는 IEEE의 절차를 고려, 2016년부터 민관합작으로 이룬 대한민국의 CDMA 성공 사례를 등재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CDMA는 통화용량을 아날로그 방식보다 10배 이상 증가시킬 수 있는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이다.

1990년대 이동통신 수요가 폭증할 당시 세계 기업들은 시분할다중접속방식(TDMA)를 놓고 치열한 기술 경쟁을 벌였지만, 대한민국은 성장 잠재력이 획기적으로 높은 CDMA 상용화에 도전했다.

정부는 ETRI가 국내에 도입한 CDMA 기술을 기반으로 SK텔레콤(당시 한국이동통신) 산하에 이동통신기술개발사업관리단을 출범시켰다. 이후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국내 단말 제조사들이 적극 협력, CDMA를 국가표준으로 단일화하고 세계 최초로 상용화 했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CEO)는 “CDMA 상용화가 국내 기업 최초로 IEEE 마일스톤에 등재되는 영예를 얻게 되어 의미가 깊다”며 “정부와 기업이 한마음으로 이뤄낸 CDMA 상용화의 창의·도전·협력을 되새기는 온고지신의 자세로 AI 시대를 개척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오후에는 ‘IEEE 마일스톤’ 수여식이 서울 을지로 SK텔레콤 본사에서 열릴 예정이다.


IEEE 마일스톤 선정 기업에 수여되는 기념 현판 제막 행사에는 캐슬린 크레이머(Kathleen Kramer) IEEE 차기 회장,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위원장, 송상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정책실장, 유영상 SK텔레콤 CEO, 백용순 ETRI 입체통신연구소장, 최원준 삼성전자 MX사업부 개발실장, 제영호 LG전자 C&M표준연구소 연구소장이 참석한다.

SKT타워 외벽에 설치된 현판에는 대한민국 CDMA 상용화 주역인 SK텔레콤, ETRI, 삼성전자, LG전자의 사명과 산업에 기여한 성과 등이 기재된다.

현판 제막에 이어 열리는 기념행사에는 유영상 CEO를 역임한 조정남 전 부회장, 표문수 마이써니(mySUNI) 총장, 하성민 전 수펙스추구협의회 윤리경영위원회 위원장이 참석 예정이다.

CDMA 상용화 당시 개발부장을 맡았던 성균관대학교 이주식 교수, 과거 SK텔레콤 각 조직에서 CDMA 관련 업무를 담당했던 직원 등 총 250여 명의 업계·학계 관계자들도 역사적 순간을 함께 한다.

이날 행사에서는 전 과학기술부 장관이자 SK텔레콤 부회장을 역임한 고(故) 서정욱 장관 유족에 감사패를 전달하는 수여식도 열린다. 고인은 SK텔레콤 재직 당시 CDMA 상용화를 이끌었던 경험을 바탕으로 ‘IEEE 마일스톤’ 등재를 적극 추진, 대한민국의 ICT 역량을 세계에 알리는데 기여했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