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구원투수 정신아 “상반기는 셋업 과정…하반기 AI로 달린다”

25

직원 1천명 만나…조직구조 개편 주력

“연내 카카오다운 AI 서비스 선보이겠다”

카카오 내부 AI 전담 조직 ‘카나나’ 신설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지난 11일 오전 안산 데이터센터에서 진행된 프레스 밋업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카카오

위기 속 카카오에 구원투수로 등판한 정신아 신임 대표가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AI(인공지능) 사업에 속도를 내겠다고 예고했다.

정 대표는 지난 11일 오전 경기 안산에 위치한 카카오 데이터센터에서 진행된 프레스 밋업에서 “말로만 하면 공허한 말이 될 것 같다”며 “연내 카카오에 맞는 AI 서비스를 내보이겠다”고 밝혔다.

또 “AI 시대에는 먼저 치고 나가는 사람이 반드시 위너는 아닐 거라는 생각을 많이 한다”며 “지금까지는 언어모델의 싸움이었다면 이제는 의미있는 서비스 간의 게임이 됐다”고 했다.

이어 “카카오톡의 차별점이 무엇인지 생각하면 우리는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인 것 같다”며 “카카오톡이 잘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한 AI 서비스를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이날 정 대표는 대표 내정 후 반년간의 소회와 함께 앞으로의 경영 방향성을 전했다.

정 대표는 “위기 속에 취임했기 때문에 쇄신이라는 키워드가 가장 많이 붙은 것 같은데 사실 쇄신이라는 게 가장 어려운 말인 것 같다”고 했다.

그러면서 “취임 전 크루톡을 통해 임직원 1000명을 순서대로 만나 문제의 근본이 어디에 있을지를 많이 찾으려고 했다”며 “카카오 본질에 집중하는 성장의 방향성과 원팀으로 달릴 수 있는 조직구조로 개편하는 데 주력했다”고 설명했다.

정 대표는 “그룹 관점에서 여러 이슈들이 많았지만 거버넌스와 의사결정 체계, 리더의 선임 작업 개선이 많이 이뤄졌다”며 “상반기는 셋업의 과정이었다면 하반기부터는 이걸 공고히 하는 작업을 진행할 것 같다”고 밝혔다.

한편, 카카오는 최근 AI 연구개발 자회사 카카오브레인을 흡수하고 AI 전담 조직 ‘카나나’를 신설했다. 카나나는 AI 모델 개발 중심의 ‘카나나 알파’와 AI 서비스 중심의 ‘카나나 엑스’로 구성됐다.

카나나 알파는 카카오브레인의 김병학 각자대표가 FO(펑션 오너) 직책을 겸직하며 이끌게 됐다. 김 FO는 카카오로 이적한 카카오브레인 직원들과 함께 ‘코지피티’ 등 AI 언어모델 개발에 집중할 계획이다.

카나나 엑스는 이상호 전 카카오 CAIO(최고AI책임자)가 PO(프로덕트 오너)를 맡아 이끈다. AI 모델을 카카오톡 등 카카오의 다양한 플랫폼에 접목하는 서비스 개발에 집중할 방침이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