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위, SKT‧네이버 등 AI 사업자에 정보처리 개선 권고

25

4개 AI 응용서비스 사업자 실태점검

SKT 음성 녹음 서비스 ‘에이닷’에 시정권고

네이버 카메라 앱 ‘스노우’에 점검 권고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이 6월 1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된 2024년 제10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전체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이하 개인정보위)가 SKT를 비롯한 AI(인공지능) 응용서비스 사업자에 개인정보 처리 개선 권고를 내렸다.

개인정보위는 12일 전체회의를 열고 AI 응용서비스 사전 실태점검 결과를 심의‧의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점검 대상은 SKT의 에이닷, 네이버의 스노우, 딥엘, 뷰노 등 4곳이다.

개인정보위는 지난해 11월부터 국내외 주요 AI 서비스를 대규모 언어모델(LLM) 관련 사업자와 응용서비스 제공 사업자로 나눠 점검을 진행했으며, 지난 3월 LLM 관련 사업자에 대해 우선 점검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이번 심의‧의결 과정에서는 에이닷, 스노우 등 AI를 활용한 응용서비스의 개인정보 처리 과정을 중점적으로 살폈다.

개인정보위에 따르면 에이닷의 통화 녹음‧요약 서비스는 이용자 기기에서 통화 녹음이 이뤄지면 음성파일이 SKT 서버에서 텍스트로 변환되고, 이를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에서 요약한 뒤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텍스트 파일을 보관하는 시스템 등에 접속기록이 보관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에 개인정보위는 시스템상 접속기록의 보관·점검 등 안전조치 의무를 준수하도록 시정권고하기로 결정했다.

아울러 개인정보보호 원칙 등에 기반해 테그트 파일의 보관 기간 최소화, 비식별 처리의 강화, 서비스 내용에 대해 정보주체들이 명확히 이해할 수 있는 조치를 마련 및 시행할 것을 개선권고하기로 했다.

네이버 자회사인 스노우에서 운영하는 카메라 앱 ‘스노우’는 생성형 AI 기술을 기반으로 얼굴 사진을 변형한 이미지를 생성해주는 서비스다.

조사 결과 스노우는 사전 학습돼 인터넷에 공개된 AI 모델을 이용함에 따라 별도로 학습데이터는 수집하지 않는다.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생성된 이미지도 일정 기간 서버에 보관할 뿐 다른 목적으로 이용하지는 않고 있었다.

다만, 특정 기능은 이미지를 서버로 전송해 사용 중이나 이용자가 알기 어려운 형태로 처리방침을 제공 중이다. 또한 이미지 필터링 등 외부개발도구(SDK) 안정성을 충실히 검토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개인정보위는 서버로 전송, 처리하는 경우 이용자가 이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외부 SDK를 사용해 개인정보를 처리할 때 의도하지 않은 개인정보를 전송하지 않도록 점검할 것을 개선권고했다.

AI 기술로 전 세계 31개 언어를 번역해 주는 딥엘은 이용자가 무료 서비스에 입력한 정보에 대해 AI 학습과 인적 검토를 하면서도 이를 명확히 공개하지 않은 사실이 확인됐지만, 점검 과정에서 이를 개선한 만큼 별도의 개선권고는 하지 않았다.

AI 기반의 의료영상(X-RAY, CT, MRI 등)과 심전도 등 생체신호 판독·진단을 보조하고 질환을 예측하는 프로그램인 뷰노의 경우, 특별한 위반 사항은 발견되지 않았다.

개인정보위는 “앞으로도 정보주체가 안심하고 AI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AI를 도입하는 응용서비스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AI 시대의 개인정보 보호 대책 및 안전한 개인정보 활용 방안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