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바이오분야 13개 공공연구기관과 핵심 성과 창출 도모

21

18일 바이오분야 공공연구기관 협의체 구성

바이오 분야 미래 아젠다 발굴 등 협력키로

과기정통부 전경. ⓒ데일리안DB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바이오분야 13개 공공연구기관은 핵심 성과 창출을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과기정통부와 바이오분야 13개 공공연구기관은 18일 ‘바이오분야 공공연구기관 협의체’를 구성하고 공공연구기관 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의체는 첨단 바이오 분야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공공기관이 상호 협력해 역량을 결집하고자 구성됐다. 이들은 13개 바이오분야 공공연구기관과 대통령실, 과기정통부 등 정부가 참여해 협력 연구 주제를 발굴하고 첨단 바이오 육성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등 상호 소통 및 협업 구심점 역할을 수행할 방침이다.

협의체에 참여하는 공공연구기관은 국립보건연구원, 국립암센터, 안전성평가연구소,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뇌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한국원자력의학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가나다 순) 등 13개 기관이다. 정부는 향후 참여기관을 지속 확대할 계획이다.

바이오분야 공공연구기관은 협의체 활동을 통해 국가 정책에 발맞춰 첨단바이오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협력 연구개발사업을 기획한다. 또 연구 시설 및 장비 공동 활용, 핵심인재 육성, 바이오 데이터 공동 생산 및 활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관 간 협력 방안을 도출한다.

정부와 협력해 바이오 분야 미래 아젠다를 발굴하고 바이오 분야 국가 정책 방향을 논의하는 등 싱크탱크 역할도 수행한다. 아울러 연구기관 주요 연구내용 및 연구성과 공유도 활발히 진행해 협력 저변을 넓힐 계획이다.

이날 행사에서 바이오분야 13개 공공연구기관은 이러한 협력 내용을 담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체결식 이후 구체적인 협력방안 도출을 위한 바이오 기술분야별 분과협의체 구성 계획 등 세부적인 협의체 운영계획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협의체 위원장으로 선출된 서판길 한국뇌연구원 원장은 “이번 협의체 구성으로 바이오 분야 13개 공공연구기관이 서로 소통과 협력을 위한 첫발을 내딛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협의체 활동을 통해 공공연구기관이 맡은 소임을 다하면서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황판식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실장은 “융합이 핵심 키워드인 첨단바이오 분야를 선도하기 위해서는 연구기관이 각자 잘하는 것에서 나아가 서로 융합하며 역량을 결집해야 한다”며 “과기정통부도 협의체 활동에 적극 참여하며 정부 차원에서 지원이 필요한 사항은 아낌없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