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난치성 뇌종양 치료 새 가능성 열어”

236

연구팀, 억제성 Fc 감마수용체 결손에 따른 교모세포종 쥐 뇌종양 실험

세포독성 T세포 불응성 회복, 항암 작용 증대를 유도해 생존률 개선 확인

억제성 Fc 감마수용체 결손에 따른 교모세포종 뇌종양 실험 쥐의 항PD-1 치료제 항종양 활성 증가에 따른 생존율 개선 연구 이미지.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교모세포종 실험 쥐 모델에서 억제성 Fc 감마수용체(FcγRIIB)의 결손을 통한 면역관문억제제의 세포독성 T세포 불응성을 회복해, 항암 작용 증대를 유도함으로 생존율 개선 효능을 확인했다고 6일 밝혔다.

이홍규 KAIST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은 한국화학연구원 감염병예방진단기술연구센터와 협력해 난치성 뇌종양 치료 새 가능성을 열었다. 연구팀은 최근 세포독성 T세포에서 발견된 억제 수용체(FcγRIIB)가 종양 침윤 세포독성 T세포의 특성과 면역관문억제제(항 PD-1)의 치료 효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 억제 수용체(FcγRIIB)가 결손되었을때 종양항원 특이적 기억 T세포의 증가를 유도했다. 이 같은 T세포 아형은 탈진화를 억제하고 줄기세포 특성을 강화했고, 이를 통한 항 PD-1 치료의 회복된 T세포 항암 면역반응을 이끌었다. 또 연구팀은 항원 특이적 기억 T세포가 FcγRIIB 결손 시 상대적으로 높은 수의 증가와 함께 지속적인 종양 조직 내 T세포 침투를 이끈다는 결과를 확인했다.

해당 연구는 면역관문억제제에 불응성을 보이는 종양에 대한 새로운 치료 타깃을 제시했으며, 특히 교모세포종과 같은 항 PD-1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종양에 FcγRIIB 억제와 항 PD-1 치료를 병행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FcγRIIB 억제를 통한 항암 면역작용 증진 전략이 면역관문억제제의 효능을 높이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흥규 교수는 “면역관문 치료제를 이용한 뇌종양 치료 임상 실패를 극복할 가능성과 다른 난치성 종양으로의 범용적 적용 가능성을 제시한 결과”라며 “추후 세포독성 T 세포의 종양 세포치료 활용과 접근 가능성도 확인한 결과”고 소개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