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75억원 규모로 58개 대학 지원 예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월 6일부터 3월 18일까지 2025년도 소프트웨어중심대학 사업 신규 선정 모집 공고하고, 10개 대학을 선정한다.
소프트웨어 중심대학사업은 대학의 교육체계를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혁신하고, 인공지능(AI) 등 산업현장의 신기술 수요를 반영해 현장중심의 전공교육을 강화하는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전문·융합인재 양성사업이다. 지난 2015년부터 시작돼 지금까지 약 35만 4000명 소프트웨어 전문·융합인재를 양성했다.
본 사업은 올해 10개 대학을 신규 선정해 총 975억원 규모로 58개 대학을 지원할 예정이며, 대학 선정은 일반트랙과 특화트랙으로 나누어 진행한다.
올해 신규로 선정되는 대학은 기존과 달리 전교생을 대상으로 AI 기초·활용 교육을 의무화해 AI교육이 대학 전체로 확산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대학이 AI 및 SW 혁신 인재를 체계적으로 양성하고, AI 기술을 다양한 학문과 융합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일반트랙은 소프트웨어 학과 입학정원 100명 이상이며, 소프트웨어 학과의 대학원을 운영하는 대학이 지원할 수 있다. 선정 시 매년 20억 원(1차년도 10억원)이 지원된다. 기업 맞춤형 교육을 위해 계약정원제의 계약정원도 입학정원에 포함이 가능하다.
일반트랙의 지원기간은 최대 8년(4+2+2)이며, 기존에 1단계 소프트웨어 중심대학으로 선정돼 지원이 종료된 대학이 재선정될 경우는 6년(2+2+2)을 지원한다.
특화트랙은 재학생 수 1만명 미만인 중소대학만 지원할 수 있으며 일반트랙과 달리 소프트웨어학과 정원 및 대학원 운영 등의 자격 조건이 없고, 선정 시 연간 10억원(1차년도 5억원)을 지원한다.
특화트랙의 지원기간은 최대 6년(2+2+2)이며, 중소대학의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해 정부 예산을 지원받아 운영되는 과학기술특성화대학과 기존에 소프트웨어 중심대학으로 선정된 바 있는 대학은 지원이 제한된다.
지역 우수한 소프트웨어 인재 양성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이외의 지역이 참여할 경우 가점 2점, 글로컬대학이 참여할 경우 추가적으로 가점 최대 1점을 부여할 예정이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디지털 대전환 시대의 핵심은 인공지능(AI)과 소프트웨어(SW)이며, 이는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라며“소프트중심대학 사업을 통해 우리나라가 인공지능 세계 3대 강국으로 도약하고, 첨단 기술 인재 양성의 글로벌 표준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눈 떠보니 정신병원…직원들이 무자비하게 내리찍었습니다”
- “이재명, 검찰 통신조회 불만?…수사기관 압박하는 모습으로 비춰져” [법조계에 물어보니 614]
- 민주당에 드리우는 낙조
- 김문수, 눈떠보니 여권주자 1위…”대선 출마 생각 없다” 몸 낮춘 이유는 [정국 기상대]
- “BYD 보고 있나”…기아, 전기차 최대 500만원 ‘폭탄세일’
- 정부, 양자과학기술 산업육성에 1980억원 투자
- 2월 과학기술인상, 이건재 KAIST 석좌교수 선정
- 민주당, 이재명 ‘재판지연’ 국민의힘 비판에 “尹 ‘탄핵지연’ 물타기”
- 김부겸, 이재명 ‘시간 끌기’에 일침…”위헌법률심판, 법원·국민 믿고 갔어야”
- ‘친문 적자’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 민주당 복당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