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1월 比 0.4%p 하락
정치 불확실성 확대 여파
내년 물가 상승률 전망 1.9%

한국은행이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9%에서 1.5%로 대폭 내렸다
한은은 25일 금융통화위원회의를 열고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5%로 하향조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11월 예상했던 1.9%보다 0.4%포인트 낮춘 수치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전망치 1.8%를 유지했다.
앞서 한은은 올해 전망치를 지난 2023년 11월(2.3%) 이후 지난해 5월(2.1%), 11월(1.9%) 등으로 점차 낮춰 왔다.
이번 한은 전망치 1.5%는 정부 전망치(1.8%)를 비롯해 국제통화기금(IMF), 경제협력개발기구(0ECD), 한국개발연구원(KDI)이 각각 제시한 2.0%, 2.1%, 1.6%보다 낮은 수준이다. 지난달 말 기준 주요 해외 투자은행(IB) 8곳의 평균 전망치(1.6%)보다도 낮다.
한은은 “앞으로 국내경제는 경제심리 위축, 미국의 관세정책 등의 영향으로 내수 회복세와 수출 증가세가 당초 예상보다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에 따라 올해성장률은 지난 11월 전망치(1.9%)를 큰 폭 하회하는 1.5%로 전망된다”고 언급했다.
이어 “국내 경제상황을 보면 비상계엄 사태에 따른 정치 불확실성 확대, 기상여건 악화 등으로 소비가 부진한 가운데 수출 증가세가 약화됐다”며 “고용은 주요 업종의 취업자수 감소세가 이어지는 등 둔화 흐름을 지속했다. 국내경제는 경제심리 위축, 미국의 관세정책 등의 영향으로 내수 회복세와 수출 증가세가 당초 예상보다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부연했다.
올해와 내년 물가상승률 전망은 각각 1.9%로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한은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국제유가 및 환율 상승의 영향으로 1월중 2.2%로 높아졌으나 근원물가 상승률(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은 1.9%로 안정세를 이어갔다”며 “단기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월중 2.7%로 소폭 하락했다. 앞으로 물가상승률은 환율이 상방요인으로 작용하겠지만 낮은 수요압력 등의 영향으로 2% 내외의 안정적인 흐름을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이에 따라 금년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1월 전망에 부합하는 1.9%로 전망되며, 근원물가 상승률은 지난 전망치(1.9%)를 소폭 하회하는 1.8%로 예상된다”며 “향후 물가경로는 환율 및 국제유가 움직임, 국내외 경기 흐름, 정부의 물가안정 대책 등에 영향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공수처, 尹영장 기각되자 입맛대로 관할 바꿔…’영장 쇼핑’ 매우 이례적” [법조계에 물어보니 626]
- 尹 탄핵심판 막바지되자…與 지도부와 잠룡들 ‘조기 대선’ 시각차 극명 [정국 기상대]
- [대권 가는 길 ⑪] “준비돼 있다”는 홍준표…마지막 도전서 결실 얻을까
- “여름 길고 봄·가을 짧고” 패션업계, 기후 변화에 사업전략 다시 짠다
- 불난 빌라서 주민 구했더니 수리비 배상?…광주시장 “걱정 말라”
- [속보] 이창용 “금통위원 전원 금리 인하 찬성”
- GS, 배당 늘렸지만…갈 길 먼 ‘기업가치 제고’
- ‘대어급 IPO’ 지난달 주식발행 7394억원…전월比 52%↑
- 한수원, 최초 국제기관 ‘APR Owners Group’ 출범…APR 원전 운영사 간 국제 협력
- 농진청, 조직개편…“농업 미래 성장산업화 중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