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주군, 농촌 빈집을 ‘워케이션 거점’으로 활용 추진

171

[투어코리아=김동환 기자] 울산연구원이 지난 25일 울주군 농촌지역에 방치된 빈집을 활용해 거주인구를 유입할 새로운 전략을 발표했다.

출처 : ⓒ한국관광공사 포토코리아-변양옥

연구를 진행한 정현욱 도시공간연구실장은 빈집 문제 해결을 위해 개별 주택 단위가 아닌 면적과 공간적 특성을 고려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마을 단위로 집중된 빈집들을 분석해 공간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농어촌정비법, 농촌공간재구조화법 등 기존의 법·제도와 연계하여 울주군 전역의 빈집 마스터플랜을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정 실장은 울주군의 빈집 활용 전략을 크게 ‘정비·관리 차원’, ‘활용 차원’, ‘거버넌스(공동체) 차원’으로 구분해 제안했다.

정비·관리 차원에서는 빈집 소유보다는 이용 중심의 관리 정책을 수립하고, 빈집 정보시스템인 ‘울주 빈집은행’을 구축하며, 종합계획 수립 등을 추진하자는 계획이다.

활용 차원에서는 시범사업과 지역 특성에 맞는 다양한 빈집 활용 방안 마련, 그리고 마을 플랫폼 구축 및 시장 플랫폼으로의 확대를 제안했다.

거버넌스 차원에서는 마을 공동체 중심의 빈집 문제 해결과 지역 내 사회경제적 주체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정 실장은 “4도 3촌, 워케이션, 농촌 창업 등 농촌 수요가 증가하는 지금, 울주군 농촌 빈집은 새로운 가능성을 담고 있는 자산이다”라며 빈집 활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