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꿀팁! 지하철 ‘약냉방 칸 위치’를 찾아라

162
지하철 약냉방 칸을 찾아라! / 인포매틱스뷰
지하철 약냉방 칸을 찾아라! / ⓒ인포매틱스뷰

약냉방 칸이란?

약냉방 칸은 냉방 온도를 일반 칸보다 1~2℃ 높여 설정한 지하철 객차입니다. 에어컨 바람이 너무 차거나, 냉방병이 걱정되는 승객들을 위해 만들어졌죠. 쾌적하면서도 과하지 않은 온도로 여름철 냉방에 민감한 사람들에게 추천되는 호차입니다.

약냉방 칸, 어떻게 찾을까?

약냉방 칸, 어떻게 찾을까? / 사진=한국관광공사 포토코리아@이범수
약냉방 칸, 어떻게 찾을까? / 사진=한국관광공사 포토코리아@이범수

그렇다면, 약냉방 칸은 어떤 호차에 있을까요? 찾는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해요. 지하철 문 바깥이나 안쪽에 붙은 파란 스티커, 거기 눈꽃 아이콘이랑 ‘약냉방’이라는 글씨가 눈에 딱 들어올 거예요.

게다가 차량 연결문 위쪽에도 표시가 되어 있어서 탑승 전에 슬쩍 확인만 해두면, 금방 찾을 수 있어요.

✅칸 번호는 항상 맨 앞(기관사실)부터 세는 기준

노선 열차 편성(칸 수) 약냉방칸 위치(번호 기준)
1호선 8~10칸(일부 12칸) 4번째, 7번째 (10칸 기준)
3호선 10칸 4번째, 7번째
4호선 10칸 4번째, 7번째
5호선 8칸 4번째, 5번째
6호선 8칸 4번째, 5번째
7호선 8칸 4번째, 5번째
8호선 8칸 3번째, 4번째
2·9호선 운영x 운영x

✔순환선으로 항상 승객이 많은 2호선은 약냉방칸이 없습니다. 9호선 또한 운영하지 않아요!

정리 / Designed by Freepik
정리 / Designed by Freepik

✅정리

1. 약냉방칸 찾는 법

파란색 스티커: 객차 외부와 내부에 ‘약냉방칸’ 파란색 스티커가 붙어 있어요.

눈꽃 아이콘과 ‘약냉방’ 문구를 확인하세요.

차량 연결문 상단에도 표시가 있습니다.

2. 좌석별 온도 차이

객차 양쪽 끝, 특히 교통약자 배려석 주변이 가장 시원합니다.

객차 중앙은 상대적으로 덜 시원해요.

너무 춥다면 객실 중앙부에 앉는 것도 방법입니다.

3. 약냉방칸 특성

일반 객차보다 약 1℃ 높게 운영됩니다.

승객 수가 많을수록 더 더울 수 있어요.

혼잡 시간대엔 금세 만석 되니, 미리 위치 확인이 좋아요.

아이 동반이나 교통약자에게도 적합한 선택지입니다.

4. 참고사항

대부분 4~7호차쯤에 배정되어 있습니다.

단, 2·9호선에는 약냉방칸이 없습니다.

여름철 지하철 이용 꿀팁 3줄 요약!

✔지하철 이용 시 너무 춥다면 약냉방칸을 찾자!

✔보통 4~7호차쯤에 있으므로, 추운 것이 싫다면 중앙에 

✔파란 스티커가 보인다면 그곳이 바로 ‘약냉방 칸’

+1
0
+1
0
+1
0
+1
0
+1
0